중국 기업은 배제…… ‘반도체 패권 경쟁’ 일환으로 해석되기도
[테크월드뉴스=서유덕 기자] 미국 백악관이 12일(미국 현지시간) 반도체 공급 부족 문제와 관련한 화상회의를 열고 업계 관계자들과 해결책을 논의했다.

이번 회의는 반도체 공급 부족 문제에 대한 기업의 의견을 청취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진행됐다. 회의는 제이크 설리번 미국 국가안보보좌관이 주재하고 브라이언 디스 국가경제위원장과 지나 러만도 상무장관이 합석했으며, 포드·GM 등 자동차 제조 기업과 삼성전자·TSMC·인텔 등 반도체 제조·IP 기업 19곳의 임원이 참여했다.
회의 중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잠시 모습을 드러내기도 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회의에서 반도체 웨이퍼를 들어보이면서 “이런 칩, 웨이퍼, 배터리, 광대역 등 모든 것은 인프라”라고 말하며, 반도체 제조와 R&D 관련 500억 달러 지원 계획이 포함된 2조 달러 규모 인프라·일자리 예산안의 승인을 미 의회에 촉구했다.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회의는 반도체 공급 부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글로벌 기업의 목소리를 듣기 위한 자리”라며, “어떤 즉각적인 결정이나 발표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날 회의는 미국과 중국의 반도체 패권 경쟁과 무관치 않다는 해석이 나온다. 미국은 반도체 산업을 국가 핵심 전략 산업으로 규정하고, 중국의 반도체 산업을 제제함과 동시에 미국내 반도체 생산량을 늘리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지난해 5월 화웨이 제제를 시작으로 중국 견제를 본격화 한 미국은 올해 1월 중국 반도체 제조 기업 SMIC에 첨단 제조 장비 수출을 제한했다.
이날 회의에 참여한 반도체 기업들 중에서 중국 국적 기업은 없었다. 중국 관영매체 환구시보의 영자지 글로벌타임즈는 “미국이 중국을 의도적으로 배제하고 반도체 회의를 열었으며, 백악관은 반도체를 중국의 기술력 상승을 억제하는 무기로 사용하려 한다”고 전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