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나 러몬도 상무부 장관, “필요한 경우 정보 제출 강제할 것”

[테크월드뉴스=서유덕 기자] 미국 현지시간 23일 백악관이 세 번째로 소집한 반도체 공급망 점검 회의에서, 미 정부가 주요 반도체 공급·수요업체에 기업 정보 제출을 요구했다.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지나 러몬도 상무부 장관과 브라이언 디스 국가경제위원장 주재 하에 화상으로 진행된 이번 반도체 공급망 점검 회의에서, 미 정부는 반도체 공급망에 속하는 기업들에게 재고, 수요, 유통 관련 모든 정보를 자발적으로 공유할 것을 요구했다. 백악관은 브리핑을 통해 “러몬도 장관이 기업 지도자들에게 향후 45일 이내에 RFI(정보요청서)에 대응하고 공급망 내 신뢰와 투명성을 개선할 것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러몬도 장관은 로이터와의 인터뷰에서 “만약 기업들이 우리의 요청에 자발적으로 응하지 않는다면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요구하는 수단을 꺼낼 것”이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이번 회의에는 지난 4~5월 1·2차 회의에 이어 삼성전자를 비롯한 TSMC, 인텔 등 글로벌 반도체 생산·공급사와 애플, GM, 포드, MS 등 팹리스 및 수요기업들이 다수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는 미국 투자 압박에 이어 정보 공개 요구에도 응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미국은 지난 수년 동안 정보 유출을 막기 위해 중국산 IT 장비·소프트웨어의 반입·사용과 중국으로의 자국 기술 제품 수출을 제한해 왔다. 지난 2012년 중국 IT 기업인 화웨이의 통신장비가 중국 정부의 스파이 활동에 사용됐다는 미 의회의 보고서가 발표되면서 표면화된 중국 백도어(사용자 정보를 무단으로 전송하는 것) 문제는 2017년 중국 정부가 해외에서의 감시까지 가능하게 만든 국가정보법을 발의하면서 격화됐다. 미국은 2018년 동맹국에게 화웨이 통신 장비 사용 금지를 요청했으며, 틱톡 등 중국산 스마트폰 앱의 퇴출을 추진하기도 했다.

그런 미국이 이번에는 글로벌 기업들에게 정보 제출을 강요했다. 기업 입장에서, 재고·수요·물류 데이터는 경영상 핵심 비밀로 간주돼 공개하기 난처한 정보다. 로이터는 일부 참석자들이 미 정부의 정보 제출 요구로 가격 등 기업 비밀 유출을 우려했으나, 러몬도 장관은 필요한 경우 정보 공개를 의무화할 것이라는 메시지를 개인적으로 기업에 전달했다고 보도했다.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회원가입 후 이용바랍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저작권자 © 테크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와 관련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