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세 번째 반도체 회의 소집, 반도체 공급망 논의
24일 4자 안보 협의체 회의에서 중국 견제 공동성명 채택할 전망

[테크월드뉴스=서유덕 기자] 미국이 對중국 반도체 제재를 지속하는 가운데, 23일과 24일 이틀간 글로벌 반도체 등 전략 산업의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회의를 열어 중국 반도체 굴기에 대한 견제를 강화할 방침이다.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현지 시간 15일 로이터 등 외신은 미 정부가 지나 러몬도 상무부 장관과 브라이언 디스 국가경제위원장 주재로 오는 23일 백악관에서 반도체 공급망 회의를 열 것이라고 전했다. 이번 회의는 앞서 4월과 5월 두 차례 반도체 공급망을 논의한 데 이어 세 번째 열리는 회의다.

이번 회의의 참석 기업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나, 지난 1·2차 회의처럼 삼성전자, TSMC, 인텔 등 반도체 제조사와 구글(알파벳), AT&T, GM, 포드 등 반도체 수요기업의 참가가 예상된다. 삼성전자는 앞선 두 번의 회의에 모두 참석했고, 텍사스·애리조나·뉴욕 등 지역에 파운드리 생산 시설을 추가 투자할 계획이 있는 만큼 이번 회의 참석이 확실시된다.

이번 3차 회의 또한 지난 회의처럼 중국의 반도체 굴기를 견제하려는 미국의 의도가 내포된 것으로 해석된다. 미 행정부는 2월 행정명령을 통해 반도체 산업을 국가 핵심 전략 산업으로 규정했으며, 바이든 대통령은 1차 반도체 회의에 직접 모습을 드러내 웨이퍼를 들어 보이며 “이런 칩, 웨이퍼, 배터리, 광대역 등 모든 것은 인프라”라고 말하면서 반도체 공급망 확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에 대해 중국 관영매체 환구시보의 영자지인 글로벌타임즈는 “미국이 중국을 의도적으로 배제하고 반도체 회의를 열었으며, 백악관은 반도체를 중국의 기술력 상승을 억제하는 무기로 사용하려 한다”고 논했다. 지난 두 차례의 회의와 마찬가지로, 이번 회의에도 중국 기업의 참여는 배제될 것으로 보인다.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한편 19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24일 백악관에서 개최될 4자 안보 협의체(Quad)의 첫 대면 회담에서 4개국 정상들이 “첨단기술 사용의 공동원칙으로 인권을 제시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닛케이는 4개국이 채택할 ‘경제 안보에 관한 공동성명’ 초안을 입수, 인용하며 “4국이 반도체에 대한 안전한 공급망 창출을 추진하는 정책과 첨단 기술의 사용이 인권 존중 규칙에 기초해야 한다고 발표할 것이며, 이 공동성명의 목적은 기술을 앞세워 권위주의 체제를 유지하는 중국을 억제하는 것”이라고 전했다.

미국, 일본, 호주, 인도가 참여해 2020년 8월 출범한 ‘쿼드’는 2007년 이후 남중국해 등에서 중국을 견제하고자 구성된 4개국 간의 군사 전략 협력에서 출발한 것으로, 사실상 중국의 일대일로를 견제하려는 목적을 공유한다. 닛케이가 입수한 이번 정상회담의 공동성명 초안에 ‘중국’이 직접 언급되진 않았지만, 기술과 인권 문제를 결부시키고 기술 유출과 악용 방지 대책을 수립할 것이라는 점에서 사실상 중국 제재의 성격을 띤다.

2015년 중국 정부가 공식화한 ‘반도체 굴기’는 향후 10년간 1조 위안(약 170조 원)을 투자해 반도체 자급률을 70%까지 높이겠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미·중 무역갈등과 군사·외교적 긴장이 지속하는 가운데 코로나19 창궐 이후 반도체 공급난이 장기간 계속되면서 반도체가 새로운 전략 자산으로 부상했고, 반도체 굴기는 미국의 집중 견제 대상이 됐다.

미국의 중국 견제 영향으로, 중국의 반도체 굴기는 저조한 성과를 내며 ‘굴기’가 무색한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반도체 굴기를 상징하는 기업인 칭화유니그룹은 무리한 투자의 영향으로 지난 7월 파산 절차에 들어갔으며, 화웨이와 SMIC는 소재·부품·장비 공급난에 생산량을 줄였다. 중국 윙테크의 100% 출자 회사 넥스페리아가 영국의 파운드리 업체 뉴포트웨이퍼팹(NWF) 인수할 때 영국 의회의 강한 반발에 부딪히는 등 반도체 M&A에서도 고전했다.

회원가입 후 이용바랍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저작권자 © 테크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와 관련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