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월드=이혜진 기자] KT가 국내 최초로 5(세대)G 네트워크 단독모드(SA, Standalone)와 비단독모드(NSA, Non-Standalone) 서비스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핵심망(코어망) 기술 개발과 구축을 완료했다고 3일 밝혔다.

이날 현재 마무리 점검을 진행 중이다. 국내에서 5G는 NSA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NSA는 제어 부분은 4세대 이동통신(LTE), 데이터 부문은 5G망으로 분리해서 서비스한다.
SA는 제어와 데이터 모두 5G망으로 처리한다. LTE망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NSA 방식에 비해 지연 시간이 단축된다. 배터리 소모도 적다.
SA 서비스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국제이동통신표준화협력기구(3GPP) SA 국제표준에서 정의한 SA 서비스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장비를 개발, 도입해야 한다. KT는 제어∙사용자 분리(CUPS, Control and User Plane Separation) 기술를 선제적으로 도입해 SA 서비스용 핵심망(코어망) 구축 문제를 해결했다.
CUPS 기술이 적용되지 않은 NSA 코어망의 경우 SA 서비스를 위한 별도의 코어망을 구축해 기존 NSA 코어망과 연동해야 한다. KT는 5G 통합 코어 기술을 토대로 신규 장비를 설치하지 않고 기존 설치, 운용 중인 NSA 코어 장비에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만으로 SA 서비스까지 수용할 수 있게 했다.
서영수 KT 네트워크연구기술단장 상무는 “5G 상용화 당시 NSA뿐 아니라 SA 서비스까지 염두에 두고 CUPS를 선제적으로 도입해 국내 최초로 5G 통합 코어망 구축에 성공할 수 있었다”며 “고객들의 쾌적한 통신생활과 코로나19에 따른 기업들의 디지털 혁신을 뒷받침하기 위해 ‘네트워크 혁신’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