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CV 자율주행용 객체분할·추적 비디오트랙 1위
[테크월드뉴스=서유덕 기자] 국내 연구진과 미국 워싱턴대학(Univ. of Washington) 연구진이 공동으로 개발한 자율주행용 객체 분할·추적 기술이 자율주행 분야 사물을 추적하는 국제대회에서 세계 1위를 차지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11일부터 6일간 개최된 세계최대 컴퓨터비전 학회(ICCV)에서 개최하고 구글이 후원하는 ‘자율주행용 객체 분할 및 추적 기술 부문 국제 대회’의 ‘비디오 트랙’에서 1위를 차지했다고 26일 밝혔다.
이 대회는 자율주행 차량의 시점에서 촬영된 도로 영상을 대상으로 여러 객체를 나누고 추적하는 대회다. ETRI와 미국 워싱턴대학 공동 연구진은 딥러닝 기술 기반 객체 분할·추적 프레임워크를 제안해 비디오 트랙에서 높은 화소(픽셀) 단위 객체추적 정확도로 우승을 차지했다. ETRI 대경권연구센터는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개발한 알고리즘으로 주최 측이 제공하는 영상을 분석해 길, 벽, 신호등, 빌딩, 사람 등 20여 객체를 추적했다.
연구진의 기술은 객체를 화소 단위로 나누어 형태를 인식하고 색칠한다. 따라서 객체의 세밀한 식별 및 정교한 추적이 가능하다. 이는 기존의 사각 틀로 사물을 인식·추적하는 방식에 비해 훨씬 고도화된 기술로, 각 픽셀마다 객체인지 아닌지를 스스로 판단하며 객체의 위치 변화를 보다 정확하게 추적하는 기술을 포함하고 있다.
ETRI는 본 기술이 자율주행 차량용 객체 분할 및 추적 분야에 특화돼 있고, 날씨, 조명변화, 객체 크기, 가림현상, 거리환경 등 다양한 환경 속에서도 타 기술에 비해 성능이 뛰어남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객체 분할·추적 기술은 교차로나 도로 위 차량과 보행자들의 위치를 정확하고 빠르게 인식할 수 있는 기술이다. 향후 스마트시티용 교통관제 시스템에 적용하면 안전도를 높이고 다양한 서비스 연계도 가능하다. 일례로, 교차로에 진·출입하는 차량들의 진행 방향을 정확히 알아내고 예측함으로써 횡단보도 이용 보행자와 운전자 모두에게 조심하라는 경고의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이로써 교통사고 위험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이번 비디오 트랙 대회에는 대경권연구센터 김광주, 김병근 연구원과 미국 워싱턴대학의 진능 황(Jenq-Neng Hwang) 교수 연구팀이 참여했다. 문기영 ETRI 대경권연구센터장은 “향후 지방자치단체 등에 (본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인공지능(AI) 기반 스마트시티 기술을 선도할 수 있도록 관련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것이다”고 말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