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음평가, 자유 대화 처리 가능한 AI 원천 기술
한국어 교육 서비스 코코아(KOKOA) 앱 등에 적용
[테크월드뉴스=서유덕 기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자유롭게 대화를 하면서 음성을 인식하고 발음을 평가하는 대화형 교육 시스템 원천기술을 개발해 언어 학습 콘텐츠 개발 업체 다수에 기술을 이전했다고 29일 밝혔다.
ETRI가 개발한 대화형 외국어 교육 시스템은 다양한 상황별 주제를 영어나 한국어로 대화를 나누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말을 정확히 인식하는 것은 물론, 발음과 강세 표현까지 세부적인 평가가 이뤄져 외국어를 혼자서도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
또한 ETRI의 인공지능(AI) 기반 언어 학습 기술을 이전받아 제작한 한국어 학습 프로그램과 앱은 외국인의 한국어 학습을 돕고 있다. 일례로, 이르테크는 연구진이 개발한 기술을 이전받아 올해 7월 한국어 교육 서비스 코코아(KOKOA) 앱을 출시했는데 2개월 만에 1만 명 이상의 외국인이 내려받을 정도로 반응이 긍정적이다. 이 기술은 올해 3월 세종학당재단에서 출시한 인공지능 한국어 대화 연습 서비스 ‘세종학당 AI 선생님’과 교육부의 AI 기반 초등학교 영어 말하기 학습 사업에도 적용됐다.
연구진은 1990년대부터 축적한 음성인식, 자연어 대화처리 기술 연구 노하우와 언어 교육 분야 AI 기술력을 축적해오며 본 성과를 낼 수 있었다고 전했다. 특히, 언어 자체 특성뿐 아니라 외국어를 배우는 비원어민의 발음과 비문법성의 특성을 모두 반영해 AI가 높은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이윤근 ETRI 인공지능연구소장은 “다문화 가정, 외국인 노동자, 한류에 관심이 많은 해외 학습자들이 쉽게 한국어를 배울 수 있는 인공지능 원천기술을 개발했다”며 “특히, 코로나 상황으로 인한 비대면 수업, 한국어 교사 부족 등의 어려움을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향후 연구진은 다양한 국적의 외국인 음성을 보다 정확하게 인식하고 적은 학습 데이터로도 다양한 주제를 자연스럽게 대화할 수 있도록 ‘비원어민 음성인식 기술’과 ‘대화처리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