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최적 처리, 보안, 검색 편의 높여 기존 한계 극복
전국망 규모 테스트베드 통해 실용화 가능성 검증 성공

[테크월드뉴스=서유덕 기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정보 처리, 보안, 검색 편의성을 높여 단순한 연결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인 ‘데이터 중심’ 네트워킹 기반 기술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왼쪽부터) ETRI 김호건 연구원, 신용윤 연구원이 국가연구개발망(KOREN)에서 데이터 중심 네트워킹 기술을 실증하고 있다
(왼쪽부터) ETRI 김호건 연구원, 신용윤 연구원이 국가연구개발망(KOREN)에서 데이터 중심 네트워킹 기술을 실증하고 있다

1975년에 개발된 현재 인터넷 구조는 IP 주소 기반 호스트 간 연결로서 데이터 전달만을 목적으로 설계됐다. 이로 인해 모바일 환경의 이동 지원, 콘텐츠 출처의 정확성, 데이터가 원본과 일치하는지 담보하는 무결성 부문에 한계가 있다. 특히, 최근에는 가상·증강현실(VR·AR), 메타버스 등 대용량 콘텐츠 소비와 교통 시스템, 원격 제어 등 오류나 고장이 일어나서는 안 되는 서비스, 기반 데이터가 중요한 인공지능 서비스가 늘어남에 따라 데이터를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혁신이 필요한 상황이다.

ETRI가 개발한 새로운 인터넷 기술은 데이터에 ‘이름을 부여하고 보안(Signature)을 내재’ 하며, 네트워킹과 컴퓨팅을 융합한다. 새로운 인터넷 기술이 적용되면, CCTV, 블랙박스, 사물인터넷(IoT) 단말 등에서 얻는 실시간 데이터에 각각 이름이 부여된다. 이로써 응용 단계에서 사용하는 이름 그대로 쉽게 데이터를 검색하고 안전하게 자동으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방서에서는 도시 곳곳에 설치한 센서로부터 센서 위치, 센서 이름, 발생시간 등으로 구성된 데이터의 이름을 받아 실시간으로 관련 정보를 얻는 알림서비스를 쉽게 개발해 화재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ETRI 이종석 연구원이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데이터 중심 네트 워킹 실증 플랫폼의 상태를 점검하고 있다
ETRI 이종석 연구원이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데이터 중심 네트 워킹 실증 플랫폼의 상태를 점검하고 있다

기존에는 클라우드 데이터센터에 위치한 플랫폼에서 센서 데이터를 모아 분석을 해야 했다. 그러나 ETRI의 기술을 적용하면 데이터 이름에서 화재 위치, 시간 등 관련 정보가 자동으로 전달될 수 있어 추가 분석처리가 필요하지 않다. 데이터에 보안을 내재하면서 데이터 전달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조작 여부나 오류를 감지하는 것도 가능해졌다. 덕분에 오동작도 미연에 방지하고 권한이 없는 사용자의 해킹을 방지할 수 있다.

연구진은 개발된 기술을 국가연구개발망(KOREN)에 적용, 안정적으로 동작함을 보이고 실용화 가능성을 입증했다. 또한, 라우터 성능 검증 척도인 포워딩(Forwarding) 성능이 범용 서버에서 300Gbps을 기록하며 세계 최고 수준의 데이터 중심 네트워크 SW 기술력을 지녔음을 밝혔다.

김선미 ETRI 네트워크연구본부장은 “미래 디지털 인프라 필수 기술을 확보하고 실용화 가능성을 검증해 새로운 인터넷 시대로 도약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미래지향적 환경에 적용해보며 완성도를 높일 예정”이라고 말했다.

데이터 중심 네트워킹(DCN) 기술 개념도
데이터 중심 네트워킹(DCN) 기술 개념도

 

회원가입 후 이용바랍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저작권자 © 테크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와 관련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