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월드뉴스=조명의 기자]

정부가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의사결정을 통해 항공사고를 예방하는 등 항공안전관리 강화에 나선다.  

국토교통부(이하 국토부)는 5월 27일부터 김포공항 국제선청사에서 ‘항공안전데이터분석센터’를 운영한다고 밝혔다.

우리나라는 12개 국적항공사, 15개의 민항공항을 보유하고 있으며, 2019년 기준으로 세계 7위의 운송 국가로 자리매김했다.

이에 따라 교통량 증가로 인한 안전사고 예방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안전데이터를 수집·분석·활용하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해졌다.

항공안전데이터분석센터는 그동안 정부기관, 항공사, 관제기관, 공항공사에서 개별적으로 관리해오던 데이터를 범국가적 차원에서 수집·통합·분석함으로써 개별 분석만으로는 식별하지 못하는 안전 취약점을 진단해, 항공안전 경향성등 각종 안전정보를 생산, 정부와 업계 이해관계자들이 선제적인 안전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다.

또한 수집된 데이터가 항공안전의 목적으로만 활용될 수 있도록 항공안전데이터분석센터의 운영은 독립적 전문기관인 항공안전기술원이 맡게 된다.

2021년은 정부와 공공기관의 데이터를 연계·통합하고, 2024년까지 관제기관, 항공사 등 항공서비스 제공자들이 보유한 안전데이터를 통합 분석하는 항공안전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국토부는 2020년도부터 추진 중인 항공현장의 위험도를 요인별로 구분하고 정량화할 수 있는 빅데이터 기반의 안전 분석기술 개발 사업을 2023년도까지 완료해 데이터센터에 도입할 예정이다.

유경수 국토부 항공안전정책과장은 “항공안전데이터분석센터를 통해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이고 예방중심적인 안전관리를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측적된 데이터를 항공기 제작, 소음·탄소저감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회원가입 후 이용바랍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저작권자 © 테크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와 관련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