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월드뉴스=이재민 기자] 국내 웨어러블 시장이 향후 5년간 연평균 성장률 3.5%를 기록할 전망이다.

IT 시장 분석 및 컨설팅 기관인 한국 IDC가 최근 발표한 국내 웨어러블 연구 조사에 따르면, 2025년에는 총 1515만 대 규모에 이를 것으로 분석된다.

2020년 코로나19 상황에도 국내 웨어러블 시장은 2019년보다 1.5배 성장했다. 헬스케어에 대한 관심 증가와 음성 및 영상 콘텐츠 소비에 대한 소비자 니즈가 확대되며, 견조한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제품별로 살펴보면 이어웨어는 향후 5년간 연평균 성장률 3.9%로 워치와 손목밴드 대비 견실한 성장세를 보일 전망이다. 전체 웨어러블 시장 내 비중은 2020년 73.6%에서 2025년 75.0%로 확대될 예정이다.

이어웨어는 단순히 오디오, 비디오를 포함한 디지털 콘텐츠 전달을 넘어 헬스 코칭, 스마트 어시스턴트 등의 기능 혁신으로 사용자의 생활 전반에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통화 및 콘텐츠 소비의 핵심 기능인 액티브 노이즈 캔슬링(Active Noise Canceling)이 성장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된다.

손목밴드와 워치를 포함한 손목 착용 제품군은 전체 웨어러블 시장의 25% 수준을 유지하며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디스플레이 내 정보의 가독성 개선과 손을 자유롭게 사용하며 멀티태스킹을 할 수 있는 편의성이 강점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손목밴드는 낮은 가격 장벽을 강점으로 연평균 성장률 2.1%인 워치 대비 소폭 높은 연평균 2.6%의 성장률이 예상된다. 워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다양한 콘텐츠 활용이 가능한 스마트 워치, 디지털∙아날로그의 강점을 살린 하이브리드 워치, 어린이와 노약자 보호를 위한 모니터링 워치 등 다양한 형태로 성장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김혜림 IDC 책임 연구원은 “앞으로 웨어러블은 축적된 데이터와 사용자의 실시간 생체 정보를 접목해 초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고객 충성도를 높이고 헬스케어, 패션 업계를 비롯한 연관 산업군과의 협업으로 해당 시장의 외연 확장이 지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회원가입 후 이용바랍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저작권자 © 테크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와 관련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