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월드뉴스=조명의 기자]
국토교통부(이하 국토부)는 드론배송·드론택시의 상용화를 지원하기 위한 핵심 기술인 K-드론시스템의 실증 지원사업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K-드론시스템은 드론의 비행계획승인, 위치정보 모니터링, 주변 비행체와의 충돌방지 등을 지원하는 드론교통관리시스템이다.
드론의 신호등이라 할 수 있는 K-드론시스템을 이용하게 되면 비가시권 비행은 물론 여러 대의 드론을 동시에 관제할 수 있게 된다.
정부는 2017년부터 K-드론시스템 연구개발(R&D) 사업에 착수해 2020년 11월 도심항공교통(K-UAM) 시연 행사를 통해 다수 드론을 동시에 관제할 수 있는 시스템을 대중에 공개한 바 있다.
2021년 신규로 착수되는 K-드론시스템 실증지원사업은 2020년 5월 수립한 ‘K-드론시스템 실용화촉진방안’의 일환으로, R&D 과제 종료전이라도 현재 기술수준으로 실용화가 가능한 부분을 발굴해 지원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기획됐다.
이번 K-드론시스템 실증지원사업에 선정되는 업체에는 R&D 기술 중 위치식별장치·통신장비 등을 조기적용 하기 위해 필요한 드론개조·테스트 등에 소요되는 비용을 지원한다.
지원규모는 사업 분야에 따라 3000만 원~3억 원 내외로 지원하고, 총 지원규모는 7억 1000만 원이다.
그동안 공항주변 미식별 드론 발생, 드론배송 시범경로 발굴 등 당면문제 해결을 위한 ‘공항 분야’, ‘도심 분야’와 수소 등 신에너지를 활용한 도전적 과제인 ‘장거리·해양 분야 배송’ 등 3개 분야에 대해 사업자를 공모한다.
제출된 사업계획서는 사업자 선정위원회의 평가를 거쳐 지원대상을 선정할 계획이다. 공모기간은 4월 26일부터 5월 13일까지이다.
나항진 국토부 미래드론교통담당관은 “K-드론시스템은 드론의 활용범위를 기존 가시권 내에서 비가시권까지 획기적으로 넓힐 수 있는 수단”이라며 “이번 실증사업을 통해 비행가능지역의 확대, 자동화 드론배송, 수소연료 등을 활용한 장거리 배송 등 다양한 가능성을 현실화 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