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월드=김정진 기자]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기술보증기금,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등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공공기관의 기관장 자리가 전부 채워졌다. 각기 다른 부처에서 경력을 보냈던 고위 관료들로 산하 주요 공공기관의 수장 진용이 꾸려지면서 중기부의 정책 집행에도 더욱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1일 중기부에 따르면 지난달 김학도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이사장 취임을 끝으로 11개 산하 공공기관의 기관장 자리가 모두 채워졌다.
특히 중진공을 필두로 기보, 소진공, 기정원 등 중기부 산하 공공기관 가운데 가장 큰 규모의 예산을 집행하는 4개 기관장은 산업부·기재부·과기부 등 저마다 각기 다른 부처에서 공직생활을 시작한 고위급 관료로 채워져 향후 운영 방향에도 기대가 커지고 있다.
김 이사장의 최우선 과제는 중기부 정책과 중진공 현장 지원을 긴밀하게 연결하는 역할이 될 것으로 보인다. 김 이사장은 “초기단계 정책자금, 창업, 마케팅, 수출 등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모든 도구를 갖췄음에도 분절적으로 지원되고 연결이 되지 않았다”면서 “각각의 성장단계와 기능별 연결이 될 수 있게 패키지로 이어갈 수 있도록 지원 방안을 개편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실제 중진공은 김학도 이사장 취임 이후 총 경영혁신·사업혁신·금융혁신 등 4개의 태스크포스(TF)를 꾸려 기존 업무를 대대적으로 개편한다는 계획이다. TF를 통해 주요 과제를 선별해 취임 100일 안팎으로 발표할 혁신 방안에 반영하는 것이 목표다.
이 과정에서 신산업 육성, 포스트코로나, 지역정책 지원 등을 다양한 부처와 연계해 체계화하는 것이 중진공의 주요 과제다.
중소기업 연구개발(R&D)을 총괄하고 있는 기정원의 업무 특성상 4차 산업혁명과 정보통신기술(ICT) 산업에 대한 이 원장의 높은 이해도가 상승 작용을 내고 있다는 평가가 적잖다.
실제 기정원은 기존 중소기업 R&D 관련 업무 외에도 스마트공장 제조혁신, 제조업체 리쇼어링387 정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무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기술보증기금과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등 여타 기관도 관료 출신 이사장이 임기가 1년을 훌쩍 넘긴 만큼 신규 업무가 제 궤도를 찾기 시작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특히 기보는 중기부 승격과 함께 금융위원회에서 중기부로 이관된 이후 신규 업무가 급증하고 있다. 예비유니콘431 특별보증부터 특허평가시스템에 기반한 연계보증과 투자까지 다양한 업무를 신규 추진하고 있다.
중기부 관계자는 “정윤모 기보 이사장이 중기청 차장부터 중기부 기획조정실장까지 중기부의 주요 정책을 사실상 모두 파악하고 있는 만큼 산하 기관 차원에서 중기부 정책에 어떤 점이 부족한지에 대한 사항을 모두 알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라고 말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