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월드뉴스=조명의 기자] 시 외관과 환경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는 도시 계획 수립·질서유지 정책의 필수요소 중 하나이다. 이를 사회 구조적인 관점에서 지원하는 공익을 위한 인공지능 연구를 최근 구글, MIT, Carnegie Mellon University와 같은 컴퓨터 비전과 기계학습 분야의 주요 연구 그룹에서 주도하고 있다.

본 연구 알고리즘 적용 예시. 빨간색: 기존 알고리즘 기반 최단 경로, 파란색: 본 연구 알고리즘 기반 안전 경로 (위험 경로 우회)
본 연구 알고리즘 적용 예시. 빨간색: 기존 알고리즘 기반 최단 경로, 파란색: 본 연구 알고리즘 기반 안전 경로 (위험 경로 우회)

지스트 AI대학원의 전해곤 교수 연구팀은 인공지능 기법 기반의 도시 시각 영상 정보 활용을 통한 일탈 행위 발생 가능성을 탐지하는 모델을 제안했다.

기존 방법론들은 지역 내 실제 범죄 발생과 무관한 경관, 생기, 부유함 등의 주관적인 체감 안전도를 추론하는 반면에, 본 연구에서는 범죄뿐만 아니라 무단횡단 등의 비규범적 일탈 행동 발생까지 예측하는 알고리즘을 고안했다.

선행 연구들은 협소한 장소의 단일 이미지에 의존해 위험도를 예측하는 반면, 본 연구는 구글 지도에서 제공하는 거리뷰 영상과 실제 범죄 정보의 GPS값을 정합시켜 세계 최초로 대규모 객관적 범죄·민원신고 기반의 시각인지 데이터셋을 구축해 포괄적인 범위의 장소를 정밀하게 탐색함으로써 일탈 행위 발생을 탐지·예측했다.

특히 본 연구는 단순히 연령별 인구 수, 중산층 비율, 자살율과 같은 인구통계학 정보와 범죄와의 관계성을 이용한 기존 범죄·수사 관련 연구들과 다르게 범죄 예방·치안 정책 수립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거리단위의 위험성 예측을 통해 기존 치안 정책 수립에 한 단계 발전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전해곤 교수는 “기존 깨진 창문 이론(Broken window theory) 기반의 주류 도시치안 이론보다 포괄적인 일탈행위 이론(Deviance theory)을 인공지능 모델로 구현했다는데 가장 큰 연구의 의의가 있다”며 “시각정보와 사람의 범죄 행위·일탈 행동 유발의 관계성을 연구하는 사회학, 범죄심리학과 같은 사회 과학 분야에 인공지능 기술이 더욱 적극적으로 접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지스트 AI대학원 전해곤 교수(교신저자)와 AI대학원 석박통합과정 박진휘(제1저자), 박영재(제1저자) 학생 주도로 수행된 이번 연구에 경찰도 협력했다.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스마트치안지능센터는 경찰 범죄 데이터를 가공해 연구팀이 분석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인공지능 분야 세계 최고 학회인 ‘AAAI Conference on Artificial Intelligence’에 2022년 2월 22일에 발표할 예정이다. 

회원가입 후 이용바랍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저작권자 © 테크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와 관련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