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 광센서 신기술 적용해 모든 면에서 지문 인식
기존 양산 공정서 쉽게 활용 가능, 조기 상용화 기대

[테크월드뉴스=서유덕 기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전자부품제조기업 클랩(CLAP)과 함께 지문 인식 센서의 성능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김주희 포항공대 연구원이 지문인식 센서 성능을 점검하고 있다.
김주희 포항공대 연구원이 지문인식 센서 성능을 점검하고 있다.

비밀번호나 공인인증서와 달리 생체 인식 기술은 고유한 신체 특징을 활용하기에 보안성이 높다. 그중 지문 인식 기술은 사용 거부감이 적고 인식 속도도 빨라 ATM, 스마트폰 등에 빠르게 적용되고 있다.

지문 인식은 주로 손에 빛을 쏘면 지문 굴곡으로 인해 달라지는 음영을 센서로 수집해 이미지를 추출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이런 방식의 장치는 크게 광센서와 산화물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로 구성된다. 광센서는 빛의 음영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고 산화물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는 전기에너지를 활용해 지문 이미지로 추출하는 역할을 한다.

기존에는 광센서를 만드는 데 주로 실리콘을 사용했지만 연구진은 비스플루로페닐 아자이드라는 물질을 도핑한 유기물을 사용했다. 유기물은 실리콘보다 광 흡수능력이 크기 때문에 실리콘보다 작은 두께로도 광센서를 만들 수 있다. 또한, 실리콘은 흡수할 수 있는 빛을 파장대별로 구별하기 위해서 컬러 필터를 추가해야 하지만 유기물은 그럴 필요가 없다. 덕분에 두께를 줄이고 센서 모듈 부피를 작게 하며 소자 간섭도 적어 필름형 지문센서 제작에 유리하다.

또 연구진은 몰리브덴 산화물 사이에 금을 넣은 3중층 상부전극을 개발해 빛을 위에서 받는 형태로 광센서를 만들었다. 빛을 아래서 받는 기존 방식보다 두께를 줄이고 빛을 많이 받을 수 있는 구조를 만든 셈이다.

본 기술을 적용하면 지문 센서를 만드는 데 필요한 부피를 줄이면서 성능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화면 일부만이 아닌 모든 면에서 지문인식 기능을 부여하는 등 다양한 활용도 가능하다. 아울러 기존 제조공정으로 제작 가능해 빠른 양산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된다.

박영삼 ETRI 책임연구원은 “지문인식 센서가 실질적으로 쓰일 수 있도록 상용화를 염두에 두고 개발을 진행했다”며 “개발된 고성능 필름형 지문센서는 휴대폰과 노트북, ATM 등 다양한 산업현장에 적용돼 국민들이 쉽고 안전하게 보안 인증을 진행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정대성 포스텍 교수는 “휴대용 전자기기 전면에 도입될 수 있는 프린팅 기반 지문인식 센서는 현재 모든 전자회사들의 초미의 관심사”라며 “본 기술로 기업들이 다양한 혁신을 이룰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ETRI와 포항공대 연구진이 함께 개발한 지문인식 센서.
ETRI와 포항공대 연구진이 함께 개발한 지문인식 센서.

 

회원가입 후 이용바랍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저작권자 © 테크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와 관련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