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동남아시아서 AWS·MS와 3대 사업자 될 것”

[테크월드뉴스=이혜진 기자] 네이버클라우드가 “대규모 투자를 통해 일본·동남아시아 시장에서 아마존웹서비스(AWS), 마이크로소프트(MS)에 버금가는 3대 사업자가 되겠다”고 밝혔다. 2023년까지 연 매출의 80%를 기술과 인력에 투자해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네이버클라우드는 16일 온라인 밋업 행사에서 이 같은 경영 전략을 발표했다. 김태창 사업총괄(전무)은 “네이버클라우드는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자체 개발 기술을 기반으로 여러 유형의 클라우드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며 “이를 통해 어떤 산업군의 고객이라도 최고 수준의 IT(정보 기술) 역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 가능하다”고 말했다.

왼쪽부터 김태창 전무, 장범식 리더. 사진=네이버클라우드
왼쪽부터 김태창 전무, 장범식 리더. 사진=네이버클라우드

2017년 22개 솔루션으로 클라우드 사업을 본격화한 네이버클라우드는 4년 만에 제품 포트폴리오를 9배인 189개로 늘리는 등 급속도로 덩치를 키웠다. 네이버클라우드 관계자는 “4년 만에 상품과 기술 경쟁력에서 글로벌 사업자와 견줄 수 있는 수준으로 성장했다”며 “글로벌 사업자와 상품 종류뿐만 아니라 기술 면에서도 대등한 경쟁력을 갖추게 된 것은 기술 개발을 거듭한 결과”라고 강조했다.

매출도 늘었다. 지난해 네이버클라우드는 전년보다 41% 증가한 2737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글로벌(29.3%) 및 국내(18.7%) 퍼블릭 클라우드 시장의 성장률을 웃돈다. 올해는 지난해보다 46% 증가한 4000억원의 매출을 달성할 전망이다.

김 전무는 “클라우드는 현재 네이버의 주요한 성장동력”이라며 “당시 주요 글로벌 기업이 이미 독점하던 시장에 너무 늦게 뛰어드는 게 아니냐는 반응이 있었지만, 우려를 불식하며 시장 평균 성장률을 넘어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네이버클라우드는 국내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는 AWS 등 글로벌 사업자와의 격차를 줄이고 글로벌 진출을 본격화해야 하는 시점이라고 진단했다. 이를 위해 인력을 세 배 이상 늘리는 한편 친환경 데이터센터 ‘각 세종’을 구축하는 등 대규모 투자를 이어갈 계획이다.

신제품 출시에도 속도를 낸다. 비즈니스 데이터와 분석환경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데이터 박스’, 빅데이터 분석이 가능한 플랫폼 ‘데이터 포레스트’, 네이버클라우드 자체 개발 로보틱 처리 자동화(RPA) 서비스 등을 개발하고 있다. 이외에도 모바일 에지 컴퓨팅(MEC), 동형암호(암호화한 형태로 연산이 가능한 암호 체계) 등의 분야에서 솔루션 플랫폼 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

회원가입 후 이용바랍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저작권자 © 테크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와 관련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