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까지 민간투자 40조 원 유치, 세제혜택 등 정부 지원 확대
이차전지 전문·현장 인력 연간 1100명 이상 양성

[테크월드뉴스=서유덕 기자] 정부가 7월 8일 LG에너지솔루션 오창 제2공장 부지에서 ‘K-배터리 발전 전략’을 발표했다.

K-배터리 발전 전략은 우리나라를 글로벌 이차전지 R&D 허브와 선도 제조기지(Mother factory), 핵심 소부장 공급기지로 만들고자 추진하는 것이다. 이번 정책에 따라 전지 3사와 소·부·장 기업들은 2030년까지 40조 원 이상을 투자할 계획이며, 정부도 R&D·세제·금융 등 지원책을 수립, 진행할 방침이다.

(사진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사진출처: 게티이미지뱅크)

K-배터리 발전 전략은 세 가지 핵심 목표와 10가지 세부과제로 구성된다. 첫째, 기술력 확보를 위해 민관 대규모 R&D를 추진한다. 전고체, 리튬황, 리튬금속 배터리를 각각 2027년, 2025년, 2028년까지 상용화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이차전지 라인업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배터리 소부장 제조·평가·인력·사업화를 지원할 차세대 배터리 파크를 구축, 이차전지 요소기술 개발을 촉진한다. 아울러 리튬이온전지의 성능·안전·생산성 제고를 위해 하이니켈 양극재, 실리콘 음극재 등 신소재와 지능형 이차전지 개발도 지원(예타 추진)한다.

둘째, 우리나라를 글로벌 선도기지로 구축하기 위해 안정적 공급망을 갖춘 생태계 조성에 나선다. 민간 해외 소재광물 개발 프로젝트, 자원보유국과의 협력채널 강화, 비축시스템 개선을 추진해 해외 공급망을 확보하고, 재활용 설비를 확충해 원재료 확보와 소재 생산 능력을 강화한다. 또한 이차전지 소부장 특화단지 지정, 혁신 펀드 조성, 세액공제·인센티브 확대로 이차전지 소부장 기업의 성장을 도모한다. 학사급 기초·응용 및 특화, 석박사급 설계 및 고도분석, 재직자급 기술애로 해결 교육 등을 지원해 이차전지 인력을 연간 1100명 이상 양성한다.

셋째, 이차전지 시장을 확대하기 위해 다양한 수요시장을 창출한다. 사용 후 이차전지 회수부터 수집·운반, 보관, 매각, 성능평가, 제품화에 이르는 이차전지 산업 전 과정을 육성하기 위해 회수체계 마련, 수거센터 등 거점 조성, 사용 후 이차전지 활용 제품 개발 등을 지원한다. 이밖에 드론·선박·기계·공공ESS 등 이차전지의 신규 적용이 가능한 민간·공공시장을 창출하고, 대여·교체 서비스 등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한다.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반도체가 우리 몸의 머리 같은 존재라면, 배터리는 동력의 원천인 심장“이라며 ”전동화, 무선화, 친환경화 등 산업의 미래 트렌드를 이끄는 핵심 산업“이라고 강조했다. 또 “반도체에 버금가는 주력산업으로 키워 가기 위해 정부가 전방위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K-배터리 발전 전략’ 비전과 추진전략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K-배터리 발전 전략’ 비전과 추진전략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회원가입 후 이용바랍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저작권자 © 테크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와 관련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