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월드뉴스=서유덕 기자] 삼성전자가 미국 샌타바버라 캘리포니아 주립대(UCSB)와 6세대 이동통신(6G) 테라헤르츠(㎔) 대역에서 통신 시스템 시연에 성공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시연을 통해, 삼성전자와 UCSB는 테라헤르츠 대역의 6G 활용 가능성을 검증했다.

ITU-R(국제전기통신연합 라디오주파수대역 통신규약 의결기구)의 발표에 따르면, 2020~2030년 모바일 데이터 통신 수요는 연평균 54% 수준으로 지속 증가할 전망이다. 따라서, 증가하는 데이터 용량을 수용하기 위해 더 넓은 통신 대역이 필요하다.
테라헤르츠 대역은 100㎓~1㎔ 사이의 주파수 대역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주파수 대역이 올라갈수록 넓은 통신 대역폭을 사용할 수 있어 초고속 통신에 적합하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 속도가 최고 20Gbps 수준인 5G 대비 최대 50배 빠른 1Tbps 속도를 목표로 하는 6G 통신의 후보 주파수 대역으로 꼽히고 있다.
테라헤르츠 대역은 경로 손실이 크고 전파 도달거리가 짧아 안테나 집적률을 높이고, RFIC의 회로를 세밀하게 제작하며, 빔포밍 기술을 적용해야 한다. 삼성전자와 UCSB 연구진은 RFIC, 안테나, 베이스밴드 모뎀까지 통합해 실시간 전송 시연에 성공함으로써 6G 상용화를 위해 해결해야 할 테라헤르츠 대역의 높은 경로 손실, 낮은 전력 효율 등 기술적 난제 극복에 진전을 이뤄냈다.

최성현 삼성리서치 차세대통신연구센터장은 “삼성전자는 그동안 5G와 6G 기술혁신과 표준화를 주도해 왔다”며, “지난해 6G 백서에서 공유한 것처럼 테라헤르츠 대역은 6G 주요 주파수 대역으로 활용될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이번 시연은 이의 상용화 실현 가능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이정표이다”고 말했다.
6G가 상용화되면 통신 성능의 획기적인 개선으로 몰입형 XR(eXtended Reality)이나 홀로그램과 같은 신규 서비스가 모바일 단말에서도 지원이 가능해지고, 이동 통신 기술의 적용 영역이 위성 통신이나 도심 항공 모빌리티까지 확장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