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월드=방제일 기자]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신소재공학부 강희민 교수와 김영근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이 임플란트 소재 표면에서 줄기세포의 부착과 분화를 조절할 수 있는 생체 내 나노코딩 제어 시스템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줄기세포는 주변 환경을 감지하며 그 환경에 맞는 조직 세포로의 분화가 가능한 특성이 있다. 그래서 뼈‧지방‧근육‧심근‧혈관‧연골 등 여러 기관 조직 세포로 분화를 유도할 수 있기에 재생 의학과 공학 분야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체내에서 줄기세포의 부착에 대한 조절뿐만 아니라 분화에 대한 조절이 원활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해결해야 할 과제였다.

이런 가운데 신소재공학부 공동연구팀이 나노틀과 펄스전기도금으로 제작된 철-금 다층 구조 나노선(나노바코드)을 활용해 임플란트 소재 표면 위에서 리간드의 주기성과 배열순서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나노 코딩을 통한 줄기세포의 부착과 분화의 조절이 가능한 시스템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게 돼 눈길을 끈다.

여기서 나노바코드는 그 마디의 주기성과 배열순서를 다르게 해 다양한 표현형을 가지도록 유도됐고, 나노리간드 주기성이 낮고 배열순서가 끝단에 위치할수록 줄기세포의 부착율과 골세포로의 분화율이 성공적으로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동연구팀의 김영근 교수와 강희민 교수는 “나노바코드를 이용한 리간드 주기성과 배열순서의 정밀한 코딩 제어 시스템 개발로 임플란트 소재의 생체 내 줄기세포의 제어 가능성을 검증함으로써 향후 환자 맞춤형 재생치료와 면역치료 분야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라며 기대감을 내비쳤다.

회원가입 후 이용바랍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저작권자 © 테크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와 관련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