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속·정확 환자 회복, 소재 개발 및 규제보안 시급

제 3회 3D프린팅 창의메이커스 필드가 한국3D프린팅서비스협회·박인숙·정운천·송희경 의원실과 공동주최하고 협회와 포스텍 나노융합기술원이 공동주관해 지난 27일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개최됐다. 행사에서 환자 수술에 3D프린팅을 실제 적용한 전문의와 의료융합전문가들이 나서 경험을 공유했다.

포스텍 나노융합기술원 3D프린팅 인쇄전자연구센터장 신훈규 박사는 ‘메디컬 3D프린팅의 꿈과 도전‘이라는 주제로 3D프린팅이 의료에 적용될 경우 일반 제조공정 대비 100배의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신 박사는 의료 3D프린팅의 최종목표는 줄기세포로 인공장기를 출력해서 환자에 이식하는 것이며 인체에 적합한 소재개발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중앙대학교병원 구강 악안면외과 이의룡 교수는 구강 악안면외과에서 3D프린터 적용사례를 주제로 에티오피아에서 3년간 의료봉사를 통해 구순구개열 수술을 하면서 3D프린팅으로 수술부위 재건 플레이트를 만들 수 있겠다는 점을 착안해서 적용을 모색했다. 서울대학교병원 의공학과 이정찬 교수는 3D프린팅은 의료현장의 아이디어를 실물로 쉽게 구현함으로써 의료기기 시제품을 신속하게 제작하여 아이디어를 검증하거나 성능을 평가할 수 있게 하고, 의료현장의 요구를 빠르게 수용하여 시제품으로 구현하고 이를 제품화로 연결하는 의료기기의 중개연구개발 과정을 촉진할 수 있다고 밝혔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흉부외과 강준규 교수는 3D프린터를 활용한 대동맥 박리술을 주제로 수술 전 시뮬레이션을 통해 수술시간 단축 및 환자의 회복시간을 줄일 수 있으나 아직 기술적인 부분이 부족한 점을 지적했다.

발표자들은 제도적인 측면에서 우선 필요한 것은 3D프린팅 출력물에 대한 허가심사 제도의 확립과 3D프린팅 기술을 활용할 경우 발생하는 의료비용 부담에 관한 것이 해결돼야 한다고 한 입을 모았다. 현재까지 3D프린팅 기술 기반 맞춤형 의료기기의 안전성과 비용효과성에 대한 검증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건강보험 급여등재와 의료기술평가도 여의치 않다. 3D프린팅 기술에 대한 이해 없이 기존 의료행위와 치료재료라는 관점에서 접근하는 경우 적절한 해법을 찾기 어려울 수 있다.

박인숙 보건복지위원회 의원은 축사를 통해 “의사출신으로 국회에 들어오기 전부터 맞춤형 의료는 현장에서 이미 진행 되고 있었다”며 “3D프린팅 의료분야는 확대되어가고 있는 걸로 알고 있는데 3D프린팅 기술이 국민의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게 도움을 주는 따뜻한 기술로 점차 발전 될 수 있기를 바라며 국회도 적극적 지원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한편 전시장에서는 스트라타시스, 3D시스템즈, 티모스, CEP테크, 세중정보기술, TPC메카트로닉스, 3D쿠키, 국산 금속프린터 제조사인 큐브테크, 3D바이오 프린터를 생산하는 3D테크놀로지 등 국내외 3D프린팅 기업들의 제품과 3D 프린팅 관련 전시회도 함께 진행됐다.

회원가입 후 이용바랍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저작권자 © 테크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