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기술법인 엔펌=박세환 전문위원(Ph.D)] 국내 에너지전환 정책은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17~2031),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20~2034), 제5차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2020~2034)에 정책적 기반을 두고 있다.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은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단가를 2017년 대비 35.5% 인하, 전기요금 인상율 10.9% 억제와 풍력발전 산업의 효과성을 구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

풍력발전은 설비 및 부품에서 발생한 안전사고로 인한 갑작스런 운전중단 등에 대한 예측과 대응기술, 고장 발생 시 정비시간 단축을 통한 공정시스템의 최적화 방안 및 설비 고장의 최소화 방안 등을 마련해야 한다.

아울러 풍력발전 설비 및 부품에 대한 기초데이터(작동범위 및 동작시간 등)와 과거 운전정보 기반의 PAS(Predictive Analysis System : APR(Advanced Pattern Recognition) 엔진을 이용하여 과거 운전데이터를 학습, 예측 모델을 구성해야 한다.

실시간 정보관리시스템에서 수집되는 운전변수와 비교하여 비정상 상태를 감지하는 지능형 예측분석 시스템과 결합을 통해 시스템의 신뢰성‧가동성‧정비성‧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정분석도 필요하다.

풍력발전 설비 및 부품에 대한 RAMS(Reliability/Availability/Maintainability/Safety) 기반의 SCMS(Supply Chain Management System : 공급망 관리시스템) 구축사업을 통해 효율적인 통합관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산정비용 및 SCMS 이용율 등에 대한 조사분석 결과를 토대로 발전단가(Levelized Cost of Electricity)에 대해 보다 면밀히 분석해야 한다.

풍력발전 단지의 SCMS 필요성

풍력발전 단지는 사람이 접근하기 쉽지 않은 해안(해상풍력)이나 높은 산 정상(육상풍력)에 구축되어 있어 국가 차원의 단지 간 통합관리가 가능한 RAMS 기반의 SCMS를 통해 설비 및 부품 관리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현재는 신뢰성 및 안전성 관련 기반 기술을 도입‧운용하지 않은 풍력발전 단지 운영사 및 시스템 공급사가 개별적으로 관리하고 있어 자연재해 등의 위험이 닥쳤을 때 핵심 부품에 대한 공급망 중단 등으로 관련 업체의 완성품 및 부품 생산에 큰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

풍력발전 관련 설비 및 부품의 수명주기에 따른 비용 최적화 및 가용능력 극대화, 유지보수 비용과 시간 절감 등을 위해서는 RAMS 기반의 SCMS 구축이 절실히 요구된다.

특히 각 기업별로 공급망관리시스템을 별도로 구축‧운영하고 있어 이기종 간 시스템 통합이 가능한 데이터 중심의 통합 공급망 관리가 필요하다.

RAMS 기반의 풍력발전 설비 및 부품 SCMS
RAMS 기반의 풍력발전 설비 및 부품 SCMS

통합 공급망 관리를 통해 운영사의 필요 설비 요청, 제조사의 신규 설비 등록, 설비 간 동종품목 식별, 등록설비 및 동종품목의 재고 현황 파악과 단종 예측 등 효율적인 풍력발전 단지 관리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SCMS를 통해 풍력발전 설비 및 부품에 대한 정량적 효과 산정, LCoE 등 경제성 분석을 통한 SCMS 구축 전후의 정량적 효과 등을 분석함으로써 풍력발전 단지의 최적 운영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풍력발전 단지의 SCMS 요소기술

풍력발전 설비 및 부품 공급망에 대한 RAMS 기반의 SCMS를 효과적으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각 설비 및 부품 단위의 교체/고장/수리 등에 대한 DB구축 및 이력관리 ▲공급사와 운영사 간 공급체계에 대한 통합공급망 ▲풍력발전 설비 생명주기 내에서 신뢰성‧가용성‧유지보수성을 구현할 수 있는 공급망 통합관리시스템이 필요하다.

풍력발전 단지 SCMS 구축을 통해 최적의 운영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OPC-UA 데이터 송수신 및 DDS 변환기술 ▲DDS 기반 풍력발전 단지 설비의 지역관리 데이터 영역 연계기술 ▲풍력발전 단지 간 설비공급망 게이트웨이 기술 등 다양한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

특히 DDS(Data Distribution Service) 통신 미들웨어는 국제표준화기구인 OMG(Object Management Group)에서 제정한 이기종 시스템 간 데이터 통합을 위한 데이터 모델 정의에 따른 데이터 변환을 지원하는 국제표준으로서 다양한 풍력발전 설비 데이터를 유실 없이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표준으로 평가받고 있다.

게이트웨이 기술은 데이터 위변조를 방지하여 데이터서비스 품질을 높이고 데이터를 안전하게 송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 보안 기능이 강화된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풍력발전 단지의 SCMS 요소기술은 한국형 뉴딜 종합계획(2020.07) 및 산업‧에너지 한국판 뉴딜 정책(2020.07) 등에 기반을 두고 있다. 클라우드를 통한 초기 투자 비용의 최소화 및 소요 시간 절감, 설비에 대한 통합 구매공급관리 시스템을 통한 효율적인 의사결정 등 공급망 전체의 효율성 향상을 기대하고 있다.

풍력발전시스템의 RAMS 설계 및 개발 개요

풍력발전 설비 및 부품의 재고, 이력 관리 등 효율적인 유지보수 체계를 구축에는 RAMS 기반의 통합관리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풍력발전 단지의 신뢰성 및 안정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다.

주요 외산 RAMS 솔루션의 핵심 기능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벤치마킹도 필요하다. 국내 풍력발전 산업환경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개발 솔루션의 기능 정립 및 아키텍처 설계 ▲상세 구조 및 기능 설계, 주요 알고리즘 개발 및 모듈별 프로그래밍 ▲모듈별 단위 테스팅, 인터페이스 통합 ▲통합 테스팅 및 디버깅 등을 고려해야 한다.

국내 풍력발전 산업환경에 부합하는 RAMS 솔루션
국내 풍력발전 산업환경에 부합하는 RAMS 솔루션

국내 풍력발전 산업환경에 부합하는 RAMS 솔루션의 주요 프레임워크는 ▲컴포넌트 고장률 및 전체 시스템 신뢰도 예측기능 개발 ▲신뢰도 예측 소프트웨어(MTBF, MTTR, MTTF) 도구 제공 ▲신뢰도 예측 분석을 위한 프레임워크로 활용할 수 있는 예측 모델링 등이다.

설계 프로세스 초기에 제품 신뢰도에 대한 평가를 통해 시스템 고장의 근본적인 원인과 시스템에 미치는 환경영향과 스트레스를 고려하여 RAMS 분석 모듈 설계에 반영한다. 풍력발전 설비 및 부품의 규격을 수용할 수 있는 세부 기능도 갖춰야 한다.

RAMS 분석 모듈의 세부 기능
RAMS 분석 모듈의 세부 기능

국내 풍력발전 산업은 정책적 지원과 함께 풍력터빈 등의 제품가격 하락으로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향후에도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20% 목표) 및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204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30~35% 목표)을 기반으로 지속적으로 확대도 전망되고 있다(‘해상풍력의 국내 경쟁력 현황 및 제고방향’, 전기저널, 2020.11).

현재 글로벌 해상풍력발전 설비용량은 2016년 14.4GW가 구축되었으며, 연평균 28%의 신규용량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GWEC 보고에 따르면 세계 해상풍력발전 설비의 12.63GW가 유럽지역(이 중 72%가 북해 연안)에 설치되어 있으며 북해 및 지중해 지역은 연간 평균 9㎧ 이상의 강한 바람이 부는 우수한 풍력자원을 기반으로 글로벌 해상풍력 발전 기술시장을 선점하고 있다.

국제사회는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2015년 말 제15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 15)에서 개발도상국가의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2030년까지 배출전망치(BAU : Business As Usual) 대비 37% 감축하기로 합의하였다.

2021년 말 제21차 회의(COP 21)에서는 개도국을 포함한 모든 국가(196개국)에 산업혁명 이전 대비 지구 표면의 평균기온 상승을 1.5℃ 이하로 제한하기 위한 노력을 촉구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온실가스 발생량이 가장 많은 에너지 부문에서의 획기적인 에너지전환 정책이 확대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에너지전환 로드맵,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 재생에너지 산업 경쟁력 강화방안 등 다양한 에너지전환 정책을 시행 중이다.

에너지전환 정책의 핵심은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의 20% 확대다. 특히 풍력 발전량을 1.42GW(2018년 기준)에서 17.7GW로 대폭 확대할 계획이며 풍력발전 설비의 대폭 증가도 예정돼 있다(‘해상풍력의 국내 경쟁력 현황 및 제고방향’, 전기저널, 2020.11).

풍력발전을 이용한 안정적인 전력 수급을 위해서는 풍력발전 설비 및 부품의 재고, 이력 관리 등 효율적인 유지보수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RAMS 기반의 통합관리기술을 개발하여 풍력발전 단지의 신뢰성 및 안정성을 강화하는 데 주력해야 한다. 수많은 풍력발전 부품의 비용 최적화된 구매‧관리‧공급사 선정과 아울러 이를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통합 SCMS 구축이 요구된다.

회원가입 후 이용바랍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저작권자 © 테크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