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ETRI]](https://cdn.epnc.co.kr/news/photo/202206/224971_225909_387.jpg)
[테크월드뉴스=장민주 기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의료영상 기반 의료 3D 프린팅 모델링’에 관해 신규 제안한 국제표준 개발 과제 3건이 승인됐으며 3D 스캐닝 표준 개발을 위한 작업반도 신설했다고 29일 밝혔다.
2019년 개발에 착수한 관련 국제표준 2건은 최종 제정을 앞두고 있다.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 사업의 결과다.
이로써 우리나라의 의료 3D 프린팅·3D 스캐닝 분야 국제표준 리더십을 한층 강화햇으며 건설, 제조, 국방, 항공, 문화예술, 역공학 기반의 글로벌 디지털 강국 도약의 발판을 마련했다는 평가다.
이번에 신규 채택된 3건의 표준화 항목은 ▲표준 CT 영상을 기반으로 의료 3D 프린팅 보형물 제작 과정에서의 정밀도/정확도 평가를 위한 표준 평가 프로세스 ▲인체조직 분할 단계와 3D 모델링 단계에서의 정밀도/정확도 오차 평가 방법 ▲데이터셋을 만드는 표준 운영 절차서에 관한 내용이다.
의료 3D 프린팅은 환자의 의료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수술용 의료기기와 인체삽입형 의료기기, 사전 시뮬레이션 도구 등을 환자 맞춤형으로 제작하는 기술이다.
연구진은 본 표준이 완성되면 의료 3D 프린팅 모델링 소프트웨어에 대해 표준화된 절차와 방법으로 정확도를 평가해 국내외 의료 3D 프린팅 소프트웨어 인허가에 많은 도움을 준다.
무엇보다 상용화가 되면 개인 건강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상 시뮬레이션을 통해 치료효과를 예측하고 최적의 약물을 처방하는 등 새로운 의료 패러다임을 구축할 수 있다.
김형준 ETRI 지능화융합연구소장은“우리나라 주도로 환자 맞춤형 의료를 위해 필수적인 의료 3D 프린팅을 5건 이상 개발하며 3D 스캐닝 그룹을 신설하고 디지털 트윈과 메타버스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 핵심 국제표준을 선도하는 것은 매우 큰 의미가 있다”라고 말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