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연구진이 중소기업과 함께 개발한 5G 네트워크용 광통신 핵심 부품
ETRI 연구진이 중소기업과 함께 개발한 5G 네트워크용 광통신 핵심 부품

[테크월드뉴스=장민주 기자] 국내 연구진이 5G 이동통신 네트워크 광통신 핵심부품 31종을 국산화를 통해 초연결 지능화 인프라 기반을 다질 전망이다.

22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광통신 부품 중소기업 ㈜오이솔루션 등 9개사와 함께 31종의 부품을 개발, 21종 제품의 사업화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현재까지 약 57억 원의 매출을 달성했으며, 87명의 고용창출도 이뤄냈다. 향후 국내·외 5G 서비스 확산에 따라 2025년까지 1천억 원의 매출 성과를 기대하고 있다.

이번 개발에 성공한 기술은 화합물 반도체 공정을 기반으로 하는 25Gbps급 고속 광원 및 수광소자 등 대외 기술의존도가 높은 부품과 광 트랜시버 완제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주로 5G 안테나와 광중계기 장비 간 데이터를 주고받는 프론트홀(Fronthaul)용 제품에 특화된 부품이다.

기존 10Gbps급의 4G LTE용 제품 대비 채널당 25Gbps급의 고속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가질 뿐만 아니라 저전력화를 위해 55℃ 고온에서도 동작할 수 있는 특성 등 기존 제품 대비 차별화된 성능을 확보했다. 이를 통해 국내·외 통신사와 장비사 등 고객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특히, 이번 성과에는 ETRI 광패키징기술지원센터(OPAC)의 시설·장비 인프라 활용과 연구진의 기술지원이 주효했다. 연구원이 보유한 광통신 관련 핵심부품 원천기술을 바탕으로 중소기업의 연구개발 투자 부담을 덜어주면서 광통신 부품 개발과 상용화 성공률을 높일 수 있었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연구진과 기업은 기술개발을 통해 2019년 7종의 광통신 부품 사업화 성공을 시작으로 지난해까지 총 31종 개발, 21종 사업화로 57억 원의 매출과 함께 68%의 높은 사업화 성공률도 이뤄냈다.

이길행 ETRI 호남권연구센터장은 “광통신 부품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연구개발에서 기술사업화에 이르기까지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밀착형 기술지원 서비스가 절실하다”며 “앞으로도 중소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지원 분야와 인프라를 고도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최대규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본부장은 “국산 우수제품의 판로 개척과 시장영역 확대를 위해 통신‧장비사 수요기업과 공급기업을 서로 연계하는 활동을 강화해 국내 중소 부품사의 고객 확대에 더욱 힘쓸 계획이다”고 말했다.

지역 중소기업과 협력을 통해 국산화를 이뤄내면서 5G 이동통신 분야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경쟁력을 확보에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회원가입 후 이용바랍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저작권자 © 테크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와 관련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