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월드뉴스=서유덕 기자] 삼성전자 연구진이 자기저항메모리(M램) 기반 인-메모리(In-Memory) 컴퓨팅을 세계 최초로 구현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데이터 저장을 담당하는 메모리 칩과 데이터의 연산을 책임지는 프로세서 칩을 나눠 구성하는 기존 컴퓨터와 달리 인-메모리 컴퓨팅은 메모리 안에서 데이터 저장과 연산을 모두 수행하는 칩 기술이다. 대량의 데이터를 이동하지 않고도 메모리에서 병렬 연산하기 때문에 전력 소모량이 적어 차세대 저전력 인공지능(AI) 칩을 구현할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저항메모리(R램)와 위상변화메모리(P램)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활용하는 인-메모리 컴퓨팅 분야는 지난 수년간 세계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는 연구 주제였다. 하지만 또 다른 비휘발성 메모리 M램은 안정성이 높고 속도가 빠름에도 불구하고 낮은 저항값 때문에 인-메모리 컴퓨팅에 적용해도 전력 이점이 크지 않았다.

삼성전자 연구진은 기존의 전류 합산 방식 대신 새로운 저항 합산 개념을 적용한 인-메모리 컴퓨팅 구조를 제안함으로써 저전력 설계에 성공, 낮은 저항값을 갖는 M램의 한계를 극복했다. 연구진은 M램 기반 인-메모리 컴퓨팅 칩 성능을 AI 계산에 응용해 숫자 분류에서는 최대 98%, 얼굴 검출에서는 93%의 정확도로 동작하는 것을 검증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시스템 반도체 공정과 접목할 경우 대량 생산이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인 M램을 세계 최초로 인-메모리 컴퓨팅으로 구현하고 차세대 저전력 AI 칩 기술의 지평을 확장했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연구진은 새로운 구조의 M램 칩을 인-메모리 컴퓨팅에 활용하는 것에 더해 생물학적 신경망을 다운로드하는 뉴로모픽 플랫폼으로도 활용할 수 있음을 제안했다. 정승철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전문연구원은 “인-메모리 컴퓨팅은 메모리와 연산이 접목된 기술로, 기억과 계산이 혼재돼 있는 사람의 뇌와 유사한 점이 있다”며 “이번 연구가 향후 실제 뇌를 모방하는 뉴로모픽 기술의 연구·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정승철 전문연구원이 제1저자로, 함돈희 종합기술원 펠로우 겸 하버드대학교 교수와 김상준 종합기술원 마스터가 공동 교신저자로 참여했다.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반도체연구소, 파운드리사업부 연구원들도 공동으로 연구에 참여했다. 연구 성과는 영국 현지시간 12일 ‘네이처(Nature)’에 게재됐다.

(왼쪽부터) 삼성전자 함돈희 펠로우, 정승철 전문연구원, 김상준 마스터.
(왼쪽부터) 삼성전자 함돈희 펠로우, 정승철 전문연구원, 김상준 마스터.

 

회원가입 후 이용바랍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저작권자 © 테크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