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월드뉴스=조명의 기자] 하이퍼로컬이 2021년 한 해 심부름 대행 애플리케이션 ‘해주세요’에 등록된 30만 건의 심부름 유형을 분석한 결과 배달·장보기가 41%로 가장 많았다고  밝혔다.

하이퍼로컬에 따르면, 청소·집안일이 20%로 그 뒤를 이었고 설치·조립·운반 12%, 동행·돌봄 8%, 펫시팅 6%, 줄서기 4%, 벌레 잡기 2% 순으로 나타났다. 이런 심부름의 평균 시급은 1만 4500원으로 조사됐다.

코로나19는 우리 삶의 많은 부분을 바꿔놓았다. 가장 두드러진 변화는 ‘긱 이코노미(Gig Economy)’의 부상이다. 코로나19가 장기화하고 비대면 원격·재택근무가 확산되면서 특정한 회사에 소속되지 않고 원하는 일을 원하는 시간만큼 자유롭게 하려는 ‘긱 워커(Gig Worker)’들이 급증했다.

수요에 따라 단기 일자리가 결정되는 긱 이코노미의 부상은 경직된 국내 노동 시장에 활기를 불어넣고 있다. 사업자 또는 기업은 필요할 때마다 인력을 고용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긱 워커들은 모바일앱 등을 통해 비정규 알바·프리랜서 형태로 일하며 조직 규제나 상사와 갈등에서 벗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워커들에 대한 고용은 주로 지역 기반의 모바일 대행 서비스앱을 통해 이뤄진다.

긱 이코노미 시장 규모는 매년 크게 성장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 조사 기관 슈타티스타에 따르면,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약 284조 원이었던 긱 이코노미 시장 규모는 2021년 약 398조 원으로 성장했고, 2023년에는 약 521조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긱 이코노미가 창출해내는 부가가치도 크다. 맥킨지는 2025년까지 긱 이코노미가 창출하는 부가가치가 전 세계 GDP의 2%에 해당하는 2조 700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하이퍼로컬 담당자는 “워라밸을 중시하는 MZ 세대가 고용 시장 전면에 등장한 지금 긱 이코노미가 또 어떤 모습으로 진화할지 기대된다”고 말했다.

회원가입 후 이용바랍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저작권자 © 테크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와 관련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