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이차전지·디스플레이·탄소소재·정밀기계 분야 43개 기관 참여
정부·지자체·앵커기업 공동협력으로 최대 2.6조원 투입 추진
[테크월드뉴스=서유덕 기자]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27일 5대 소부장 특화단지의 협력 생태계 조성을 위한 특화단지 추진단 출범식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소부장 특화단지는 반도체, 이차전지 등 핵심 산업의 소재·부품부터 완성품까지 밸류체인을 집적화하는 클러스터로, 올해 2월 반도체 등 5개 분야의 특화단지가 지정됐다.

오늘 출범하는 추진단은 특화단지별 테크노파크(TP), 공공연구기관, 지역대학, 업종별 협·단체 등 산학연 43개 기관으로 구성되며, 상호 협력 업무협약(MOU) 체결 후 ▲기업 간 협력 수요 발굴 ▲신규 사업 기획 ▲산학연 네트워킹 활동 지원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단지별 추진단 대표기관은 차세대융합기술원(반도체), 충북TP(이차전지), 충남TP(디스플레이), 탄소산업진흥원(탄소소재), 경남TP(정밀기계)가 각각 맡았다.
아울러, 이날 행사에서 산업부와 추진단은 각 단지별 육성계획을 발표했다. 산업부는 우선 단지별 공급망 분석을 통해 취약 밸류체인 보완을 위한 품목을 선정 후 개발을 지원하고, 분야별 제품 시험·평가를 위한 신규 테스트베드를 구축할 예정이다.

5개 특화단지에는 앵커기업의 1.4조원 규모 상생협력 계획과 정부·지자체의 R&D, 테스트베드 구축, 전문인력 양성 등 지원 사업 연계 계획을 포함해 최대 2.6조 원 규모의 예산이 투입될 예정이다. 단지별로는 반도체 특화단지에 1.7조 원, 이차전지·디스플레이 단지에 각각 0.3조 원씩, 탄소소재 단지에 0.1조 원, 정밀기계 단지에 0.2조 원 투입이 계획돼 있다.
현재 반도체 단지에는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가 구축 중이고, 향후 이차전지 단지에는 핵심소재 개발과 중대형 배터리 성능평가를 위한 테스트베드, 디스플레이 단지에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클러스터인 아산스마트밸리, 탄소소재 단지에는 탄소섬유 인큐베이션허브가 조성·설립될 예정이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