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월드뉴스=조명의 기자] 보건복지부(이하 복지부)가 의료기관 사이버 침해사고가 증가함에 따라 대응 지원을 강화키로 했다. 

복지부는 최근 급증하는 랜섬웨어, 악성코드 등 사이버 공격으로부터 의료기관이 안전한 진료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진료정보 침해 대응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므로 의료기관에 대해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줄 것을 요청했다.

복지부와 한국사회보장정보원은 의료기관의 진료정보에 대한 침해사고 발생 시 신고접수, 사고대응, 침해사고 예방 등을 위해 ‘진료정보침해대응센터’를 운영(’21.2.28~) 중이다.  

진료정보침해대응센터는 침해사고가 발생한 의료기관에 대해서는 사고 대응· 복구를 통해 피해 최소화를 지원하고, 의료기관 홈페이지에 악성코드, 위·변조 삽입 여부 등을 탐지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 서비스를 무상으로 제공하고 있다.

서비스를 희망하는 의료기관은 진료정보침해대응센터 누리집으로 신청할 수 있다.

진료정보침해대응센터는 백신 접종 위탁의원(약 1300여개소)에 랜섬웨어 탐지 프로그램을 무상 제공(기관당 PC5대), 랜섬웨어 모니터링을 지원 중이며, 아직 설치하지 않은 의원은 코로나19백신접종시스템(질병보건통함관리시스템) 팝업을 클릭해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진료정보침해대응센터는 민간상급종합병원 중 주요 의료기관을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로 지정하고 매년 정보보안점검을 통해 취약점을 개선하고, 진료정보 침해사고 예방·정보보호를 위한 인식 제고 역시 추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지난 2020년 7월 ‘의료기관 랜섬웨어 예방 대응 안내서·퀵매뉴얼’을 제작·배포했으며, 국내 의료기관 대상 공격 현황을 분석해 대응보고서를 발간·배포(매분기)하고 있다.

한편, 복지부는 참여 의료기관과 함께 각각 일부 비용을 부담해 공동으로 24시간·365일 상시 관제를 통해 참여 의료기관의 정보 유출 예방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참여를 희망하는 종합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은 의료기관공동보안관제센터으로 신청할 수 있다.

양성일 복지부 제1차관은 “의료기관의 진료정보는 환자의 안전과 관련된 가장 민감한 개인정보로서 침해사고가 발생할 경우, 사생활 침해는 물론 환자 안전에도 위협이 되는 바, 의료기관은 정부와 상호 협력을 통해 진료정보 보호를 철저히 해 달라”고 당부했다. 

회원가입 후 이용바랍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저작권자 © 테크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와 관련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