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월드뉴스=이혜진 기자] SK텔레콤이 블록체인 기술과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융합한 분산신원확인(DID∙Decentralized Identifier) 서비스를 시작한다.
SK텔레콤은 자사 블록체인 모바일 전자증명 서비스인 ‘이니셜’ 기술을 IoT에 적용해 건축물의 고유식별자를 확인하고 위험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수행하는 사물 DID 서비스를 선보인다고 7일 밝혔다.

DID는 온라인에서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신원증명을 관리하는 전자 신분증 시스템을 말한다. 그동안 개인의 신원 증명을 위해 이용됐는데 이번에 국내 최초로 사물의 식별자 확인에도 이용 하게 된 것.
SKT는 시티랩스 등 4곳으로 구성된 ‘시티랩스 컨소시엄’의 블록체인 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 사업에 이니셜 기술을 지원한다.
이번 사업은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올해 블록체인 시범선도사업으로 지정했다. 컨소시엄이 중랑구청과 국내 최초로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시범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SKT는 건축물의 DID 구현과 IoT 기술을 기반으로 한 노후건축물의 기울기 및 균열 관리를 맡는다.
오세현 SKT 인증CO(컴퍼니)장은 “앞으로도 DID 기술을 다양한 산업군과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도록 지속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회원가입 후 이용바랍니다.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내 댓글 모음
이혜진 기자
(yi-hye-jin@nate.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