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월드뉴스=조명의 기자]

교육부, 한국연구재단은 5월 6일 2021년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에 신규로 대전·세종·충남 플랫폼, 전환형으로 울산·경남 플랫폼을 예비 선정·발표했다.

이 사업은 인구 감소와 지역인재의 수도권 유출로 인한 지역소멸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지자체와 지역대학이 협업체계를 구축, 지역인재 양성-취·창업-정주를 아우르는 선순환 구축을 지원한다.

교육부는 2020년에 3개 플랫폼(경남, 충북, 광주·전남)을 선정한 이후, 운영 성과를 확산하고 지역 간 협력을 통한 동반 상승효과를 창출하기 위해 신규·전환형 각 1개 선정 공모를 진행했다.

신규 선정된 대전·세종·충남 지역혁신 플랫폼은 권역 내 24개 대학, 68개 지역혁신기관이 참여해 ‘미래 이동수단(모빌리티)’ 혁신 생태계 조성에 역량을 집중하고 해당 분야 소재·부품·장비, 정보통신기술(ICT)을 핵심분야로 선정했다.

특히 이 플랫폼에서 대전은 대덕연구개발특구 등 기술개발·연구 기반, 충남은 제조업 역량, 세종은 자율주행실증특구 등 실증기술·환경을 보유하고 있어 복수형 연합을 통해 해당 지역에 부족한 핵심인재 양성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권역 내 24개 대학이 역할을 분담하고 강점을 결집해 연 3000명의 핵심분야 인재양성체계를 구축하고, 이 중 연 400명의 핵심인재를 ‘대전·세종·충남 공유대학’을 통해 배출할 계획이다.

특히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과 세종시에서 추진 중인 ‘세종 공동캠퍼스(충남대·공주대·한밭대 등 입주)’, ‘인공지능(AI)공유대학’과 연계해 향후 교육·연구·창업 등을 위한 시설·공간을 제공함으로써 공유대학의 지리적 한계를 극복하고 지속가능성을 높일 계획이다. 

이 플랫폼은 대전도심융합특구, 세종스마트시티, 천안스타트업파크 등 다양한 지자체의 자원 및 사업과 연계해 기업의 경쟁력 강화, 청년들의 취·창업을 지원할 계획이다.

경남 지역혁신 플랫폼은 2020년부터 지자체와 대학 간 협력을 기반으로 지역인재 양성체계를 구축해왔으며, 2차 연도부터 울산과 연합해 권역 내 17개 대학, 46개 지역혁신기관이 참여하는 복수형 플랫폼으로 전환한다.

울산·경남 플랫폼은 두 지자체의 지리적 인접성이나 중점산업분야 간 연계성의 측면에서 볼 때 공동의 플랫폼을 구축함으로써 동반 상승효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특히 울산은 핵심분야 산업기반은 갖춰져 있으나 지역 내 고등교육기관이 5개에 불과해, 경남과의 협업을 통해 부족한 인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플랫폼은 기존 핵심분야(제조엔지니어링, 제조정보통신기술(ICT), 스마트공동체)에 ‘미래 이동수단(모빌리티)’, ‘저탄소그린에너지’를 추가해 5개의 핵심분야를 설정했다.

이를 통해 지역인재의 교육·취업 기회가 확대되고, 기업 등 지역혁신기관의 인재 확보 가능성 및 기술개발 등 협력 범위가 확대돼 지역혁신의 저변을 넓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울산·경남형 공유대학(University System of Gyeongnam and Ulsan, USGU)으로 경남형 공유대학(USG)을 개편해 기존 3개 분야 6개 전공을 5개 분야 8개 전공으로 확대하고, 정원을 기존 300명에서 500명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지자체-대학 협력 기반 지역혁신 플랫폼을 통해 지역의 모든 역량을 동원해 지역인재의 양성-취·창업-정주를 지원하는 지역혁신모형이 만들어질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교육부는 하반기에 플랫폼 구축지역 중 고등교육혁신특화지역을 지정, 고등교육 관련 규제특례를 적용해 플랫폼의 혁신을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회원가입 후 이용바랍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저작권자 © 테크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와 관련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