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월드뉴스=서유덕 기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는 이동 가능하면서도 정밀하게 전파원을 찾아낼 수 있는 ‘이동형 전파 방향 탐지 안테나 가변 기술’을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안테나 기술을 적용하면 필요에 따라 안테나 간격을 조절해 전파가 송출되고 있는 곳을 정확하게 탐지할 수 있다. 이는 향후 불법 전파 사용을 탐지하거나 사각 지역을 보완하면서 안정적인 주파수 환경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될 전망이다.
간섭 전파원 방향 탐지 과정은 고정형 장비에서 간섭 전파원으로 추정되는 영역을 먼저 찾고 이동형 차량이 가까이 접근해 정확한 위치를 찾는 방식으로 이뤄지는데, 지금까지는 이동 안정성 확보를 위해 차량 지붕에 설치하는 안테나 높이를 최소화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높이를 최소화하고자 안테나 간격을 고정해 설치하면 방향탐지 성능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고자 ETRI 연구진은 고대역 안테나와 저대역 안테나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안테나 적층 기술을 개발했다. 움직일 필요가 없거나 느린 속도로 운행할 때는 안테나 간격을 넓혀 정밀하게 방향을 탐지하고, 빠르게 이동할 때는 간격을 줄여 기동성을 확보하는 방식이다.
기존 장비가 전파 신호를 찾아내는 방위각 범위가 2°라면 ETRI가 개발한 차세대 이동형 방향탐지 시스템은 1°범위 안에서 찾아낼 수 있어 정확도가 2배 더 높다. 그러면서도 2.5m 이하의 높이로 안테나 설치가 가능해 기존 장비보다 차량 이동이 수월하다.
연구진은 새로 개발한 기술이 국가 전파관리업무, 차량, 항공기 등 구조·재난 상황이나 악의적 위성항법장치(GPS) 방해가 이뤄지는 상황에서 전파원 위치를 찾아야 하는 민수, 국방 무기체계를 구축하는 데 많은 활용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한다.
손수호 ETRI 전파환경감시연구실 박사는 “소수 해외 선도업체가 독점하고 있는 세계 전파방향탐지 시장에서 깨끗한 전파환경을 위한 차세대 이동형 방향탐지 관련 핵심 기술을 확보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