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월드뉴스=방제일 기자] 한국시간으로 18일 새벽 3시 美 연준은 기준금리를 0~0.25%로 동결하고, 양적완화 규모를 매월 1,200억불로 유지했으며, 향후 기준금리 전망도 2023년말까지 제로수준을 유지했다.
이에 기획재정부는 김용범 제1차관이 18일 서울 정부청사에서 부내 거시경제금융 관련 부서를 소집(서울-세종 영상연결)해 美 연준의 3월 FOMC 결과와 국제금융시장 동향을 점검하고 대응방향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먼저 현재 경제상황에 대해서는 회복속도 둔화이후, 경제활동과 고용지표들이 최근 들어 반등했다고 평가하며, 금년과 내년의 경제성장률과 물가상승률 전망을 상향 조정했다.
한편, 파월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완전고용과 평균인플레이션 2%가 실제로 확인될 때 까지는 테이퍼링(자산매입규모 축소)이나 금리인상 시점을 특정할 수 없다고 발언했다.
연준이 경제전망을 올려잡으면서도 2023년까지 제로금리 유지 등 통화완화 기조를 재확인함에 따라 간밤 뉴욕시장에서 주가는 상승, 美 국채금리는 하락, 달러는 약세를 보였다.
김용범 차관은, 코로나19가 지속되는 가운데, 실제 경제지표와 정책 대응 등에 따라 美 국채금리 상승 등 금융시장 변동성이 지속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만큼 참석자들에게 경계심을 갖고 시장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할 것을 주문했다.
특히, 국채시장에서 수급부담과 맞물려 변동성이 확대되지 않도록 시장안정에 만전을 기할 것을 강조했다.
회원가입 후 이용바랍니다.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내 댓글 모음
방제일 기자
(techmania@techworld.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