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월드뉴스=방제일 기자]  특허청은 대학·공공연이 보유한 특허를 분석·진단해 기관 맞춤형 특허관리 전략을 제시하는「2021년도 공공기관 보유특허 진단 지원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대학·공공연은 연구실적과 성과평가를 위해 등록특허를 장기간 보유하는 경향이 있어 특허 활용률이 25.8%로 높지 않고, 특허유지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이에 특허청은 한국특허전략개발원의 특허 전문가와 특허분석기관을 전담팀으로 구성해, 대학·공공연의 전략적 특허 관리를 지원하는「공공기관 보유특허 진단 지원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2016~2019년 총 55개 기관에 제공한 유망특허 활용 전략으로 1284건의 특허가 기술 이전돼 약 213억 원의 기술료 수입을 창출했으며, 특허처분 전략으로 2844건의 특허에 대한 권리 유지를 포기해 약 119억 원의 특허비용 절감 효과를 가져왔다. 

특허청 박호형 산업재산정책국장은 “대학·공공연은 우수 발명을 강한 특허로 연결하고, 해외 특허도 확보하도록 노력해야 한다.”면서, “이번 사업이 대학·공공연의 불필요한 특허비용을 절감해, 고품질 특허와 해외 특허를 위한 재원을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특허청의 「공공기관 보유특허 진단 지원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기관은 2월 23일까지 한국특허전략개발원에 신청해야 한다. 

회원가입 후 이용바랍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저작권자 © 테크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