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행정업무 내 AI 도입 추진…시범운영 후 단계별 확장 계획
범정부 AI 공통 기반 활용 지능형 업무관리 이음터 개시 AI 기술 업무 전반 적용으로 서비스 개선 기대
[테크월드뉴스=김혜진 기자] 정부가 민간 인공지능(AI) 기술을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범정부 AI 공통 기반 서비스’를 개시한다. 오는 11월 말부터 내년 2월 말까지 해당 서비스를 시범 운영할 예정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와 행정안전부(이하 행안부)는 보안 확보 기반 시설에서 민간 AI 기술을 쉽고 빠르게 이용하고, 다양한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도록 ‘범정부 AI 공통 기반’ 서비스를 중점 사업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범정부 AI 공통 기반 서비스는 민간의 다양한 AI 모형, 학습데이터, 그래픽처리장치(GPU) 등을 중앙·지방정부가 공동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다.
과기정통부와 행안부는 해당 서비스를 통해 중앙·지방정부에서 중복개발·투자 없이 내부 행정업무부터 공공서비스까지 다양한 AI 기술을 업무 전반에 적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과학적인 정책기획과 대국민 서비스 개선 등 본격적인 AI 행정시대가 열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공통 기반은 공개된 행정문서·데이터를 AI 모형과 연계해 내부망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AI 챗 서비스 2종(삼성SDS, 네이버클라우드)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AI 공통 기반 기반시설(인프라)을 활용한 기관별 특화 AI 서비스 도입도 지원한다.
내년에는 ‘독자 인공 지능 기초 모형 사업(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을 통해 선정되는 AI 모형도 추가 도입할 예정이다. 민간의 우수한 AI 모형을 정부 업무에 적용해 효율성과 정확성을 지속해서 강화해간다는 계획이다.
행안부에서는 ‘범정부 AI 공통 기반’을 활용한 ‘지능형 업무관리 이음 터’ 시범서비스도 개시한다.
지능형 업무관리 이음 터는 AI을 중심으로 소통·협업 도구를 유기적으로 연계해 단순·반복적인 업무를 생략해 업무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범정부 AI 공통 기반이 활용하는 공통 데이터뿐 아니라, 개인·기관이 보유한 내부 행정문서·데이터까지 활용해 더 정확하고 맥락 있는 인공 지능 답변 생성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정부는 범정부 AI 공통 기반 및 지능형 업무관리 이음 터 서비스의 운영·확산에 앞서 실제 사용자의 다양한 의견수렴, 인공 지능 서비스 기능 검증 및 품질개선 등을 위해 2025년 11월 말부터 2026년 2월 말까지 서비스 시범 운영한다. 이후 내년 3월부터 전체 중앙·지방정부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단계적으로 서비스 대상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배경훈 부총리 겸 과기정통부 장관은 “공공부문에 인공 지능을 적극 활용해 정책 결정을 고도화하고, 과학화함으로써 최고의 성과를 낼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이번 서비스 개시를 계기로 AI 3대 강국 실현에도 한 걸음 더 나아갈 수 있도록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전했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민간의 AI 기술을 공공분야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해 민주적이고 효율적으로 정부를 운영해 국민에게 더 좋은 혜택을 드릴 수 있는 ‘AI 민주 정부’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