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드론, 수출 10배 늘었지만 점유율 0.5% 그쳐

2025-11-14     김승훈 기자

[테크월드뉴스=김승훈 기자] 국내 드론 수출이 크게 증가했으나 여전히 글로벌 경쟁력은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KITA)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14일 발표한 'K-드론 산업의 수출경쟁력 분석 및 향후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드론 교역 규모는 2022년 24억7000만 달러(약 3조6000억원)에서 지난해 61억1000만 달러(약 8조9000억원)로 두 배 이상 확대됐다.

특히, 폴란드와 미국, 이스라엘 등은 수출액과 점유율 모두 빠르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폴란드는 2022년 3300만 달러에서 지난해 5억5000만 달러로 급증했으며, 세계 점유율도 1.2%에서 9.6%로 뛰었다.

미국은 1억4400만 달러에서 3억900만 달러로(점유율 5.1%→5.4%), 이스라엘은 5200만 달러에서 1억9000만 달러(1.9%→3.3%)로 증가했다.

한국은 같은 기간 수출액이 281만 달러에서 2754만 달러로 약 10배 늘었지만 시장 점유율은 0.48%에 그쳤다. 

보고서는 한국 드론 산업이 낮은 부품 자립도와 기술 인력 부족, 연구개발 인프라 한계 등을 안고 있어 수출 경쟁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부품 및 기체 수출의 80% 이상이 상위 5개 국가에 집중돼 지역 의존도도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중국산 핵심 부품 의존도가 여전히 크고, 관련 전문 인력과 R&D 투자가 부족해 고부가가치 제품 경쟁력 확보가 쉽지 않은 점이 취약 요소로 꼽혔다.

보고서는 고중량 운송·산업용 특수 드론 등 고부가 제품으로 시장을 확대하고, 서비스형 모델로의 전환을 병행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무역협회 관계자는 "주요국은 산업·군수·물류 등 영역에서 드론 활용을 고도화하며 수출 기반을 빠르게 넓히고 있다"며 "국내 산업이 구조적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면 시장 성장세에도 점유율을 끌어올리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