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투스, 한국 AI 시장 타깃 ‘원스톱 엔드투엔드 액체 냉각 데이터센터 솔루션’ 공개
[테크월드뉴스=이광재 기자] 케이투스(KAYTUS)가 급증하는 AI 연산 수요와 에너지 효율화 요구에 대응하는 원스톱 ‘엔드투엔드(End-to-End) 액체 냉각 AI 데이터센터(AIDC) 솔루션’을 공개했다.
이 솔루션은 모듈화, 사전 제작, 안전성을 기반으로 설계됐으며 노드당 최대 15kW, 캐비닛당 최대 130kW를 지원하고 PUE는 1.1 미만이다. 설계, 개발, 배치, 운영까지 아우르는 엔드투엔드 액체 냉각 솔루션으로 대규모 액체 냉각 배치의 복잡성과 높은 진입 장벽을 해결하는 동시에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에 부합하는 친환경 데이터센터 운영을 지원한다.
국내 AI 산업은 2025년 9월 출범한 대통령 직속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를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정부는 ‘3대 AI 강국 도약’을 목표로 ‘국가 AI 컴퓨팅센터 구축 사업’ 등 대규모 인프라 투자를 추진하며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적 인센티브에 힘입어 기업들의 AI 데이터센터(AIDC) 구축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동시에 ‘국가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법’과 RE100 정책 시행으로 AI 고성능 컴퓨팅 수요 또한 급증하는 가운데 차세대 데이터센터 기술을 통해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하는 것이 필수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전통적인 공기 냉각 방식과 비교할 때 액체 냉각 방식은 뛰어난 열교환 효율과 에너지 성능 덕분에 AI 데이터센터의 사실상 표준으로 자리 잡았다. 하지만 초고밀도 시스템을 신속하게 구축하기 위해서는 액체 냉각 시스템이 기획·구축·튜닝·운영 전 과정에서 다양한 난관에 직면하게 된다.
설계 단계에서는 전력 분배, HVAC 경로 계획, 구조 하중 검토, 공기 흐름 관리 등 여러 분야 간의 긴밀한 협업이 필요하다. 구축 단계에서는 다수의 협력업체를 조율하고 동시에 진행되는 시공 작업을 관리해야 한다.
액체 냉각 시스템의 튜닝 단계에서는 다학제 간 협업이 필요하며 운영 단계에서는 냉각수 제어, 누수 방지, 고장 진단 등을 세심하게 관리해야 한다. 이러한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각 분야에서 풍부한 기술 전문성과 구축 경험을 갖춘 파트너와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케이투스의 액체 냉각 AIDC 솔루션은 기업이 액체 냉각 데이터센터 구축시 직면하는 주요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4D 차별화 전략(Design, Develop, Deploy, Dynamic Optimization)’을 적용했다.
케이투스는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설계 도면을 제공해 고객이 실제 구축 결과를 사전에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CDU, 액체 냉각 링 네트워크, 냉각수, HVAC 경로 등을 포함해 1차 루프 분석부터 완전한 2차 루프 설계에 이르는 데이터센터 초기 구축 단계의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부터 CDU(냉각 분배 장치), 냉각 루프, 지능형 운영·관리 플랫폼(KSManage, MotusAI)까지 풀스택 제품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다. IT 장비와 냉각 인프라를 통합 제공함으로써 호환성과 신뢰성을 극대화했다.
이와 함께 모듈형 및 프리패브(사전 제작) 설계를 적용하여 핵심 부품, 배관, 장비를 공장에서 사전 통합·테스트함으로써 납기 효율을 50% 이상 향상시켰다. 유럽 등 주요 지역에서 약 200MW 규모의 프로젝트 구축 경험을 보유하고 있어, 대규모 구축 역량이 검증됐다.
더불어 AI 및 HPC(고성능 컴퓨팅) 워크로드에 대한 벤치마킹·성능 검증·시스템 튜닝 서비스를 제공한다. 개별 노드부터 전체 랙 및 랙간 시스템까지 포괄하는 네트워크·성능 스트레스 테스트를 통해 최적의 연산 성능과 안정적인 운영을 보장한다.
케이투스 액체 냉각 AIDC 솔루션은 노드당 최대 15kW, 캐비닛당 최대 130kW의 냉각 성능을 지원하며 PUE 1.1 미만을 달성했다.
특히 자체 개발한 메가와트급 CDU는 1차 고온 입수 온도 36°C, 2차 공급액 온도 40°C 기준으로 최대 1,200kW의 열교환 용량을 제공해 한국의 무더운 여름 조건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발휘한다. 누수 감지 시스템과 이중 밸브 구조를 적용한 안전 설계로 누수 발생시 해당 캐비닛만 자동 격리되어 전체 시스템 영향을 최소화한다.
냉각수는 EU RoHS 2.0 및 REACH 규정을 완전 준수하며 SVHC(고위험물질) 233종이 모두 불검출돼 환경 안전성 및 장기적인 신뢰도를 확보했다.
케이투스는 기업의 빠른 AI 서비스 런칭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프리패브(사전 제작) 컨테이너 솔루션을 제공, 데이터센터 구축 기간을 80% 단축한다. 기존 500랙 규모의 데이터센터는 구축하는데 약 18개월이 소요되지만 컨테이너 솔루션은 약 90%의 조립 공정 및 테스트가 공장에서 완료되어 단 4개월 만에 구축이 가능하다.
또 이 컨테이너 솔루션은 액체 냉각, 태양광, 에너지 저장, 폐열 회수 등 친환경 에너지 절감 기술을 통합해 PUE를 1.1 이하로 낮춘다.
솔루션은 맞춤형 구성도 지원한다. AI, 범용, 엣지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 맞춰 8가지 기능형 컨테이너를 유연하게 조합할 수 있으며 최대 5층까지 수평·수직 확장이 가능해 긴급한 AI 인프라 수요에도 신속하고 확장성 있는 배포가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