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전력반도체 상용화 사업… 2년 반 동안 390억 원 성과 창출

2023년까지 총 836억 원 투입…

2021-07-21     서유덕 기자

[테크월드뉴스=서유덕 기자]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21일 한국반도체산업협회(KSIA)에서 ‘신산업 창출 파워반도체 상용화 사업’의 사업화 성과를 점검·공유하고, ‘화합물 기반 차세대 전력 반도체 기술개발 사업’의 추진 방향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현재 추진 중인 ‘신산업 창출 파워반도체 상용화 사업’은 2017년부터 실리콘과 화합물 소재 전력 반도체의 선제적 기반 구축을 지원하고 있으며, 2023년까지 예산 총 836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사업추진 5년차를 맞아 진행된 이번 성과점검 회의에는 산업부, KISA,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 파워반도체 상용화사업단, 과제 참여기업 관계자가 참석해 참여기업들의 제품 개발을 통해 2019년부터 2021년 5월까지 누적 매출 390억 원 규모의 사업화 성과가 창출됐음을 확인했다.

또한, 글로벌 선도기업 수준의 1200V/1700V급 트렌치(Trench)형 실리콘카바이드(SiC) MOSFET을 개발하는 등 기술 경쟁력 측면에서도 국내 기업의 성장 기반을 확보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①SiC 관련 대규모 투자 유치 ②SiC 반도체·모듈 적용 확대 ③질화갈륨(GaN) 공정기술 확보 등 화합물 반도체 시장에서 국내 중소·중견기업의 본격적인 성장 생태계가 마련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정부는 본격적인 화합물 반도체 상용화·양산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2022년부터 ‘화합물 기반 차세대 전력 반도체 기술개발’을 ‘K 반도체 전략’과 연계해 추진할 계획이다. 이 계획에 따라, 정부는 ①상용화 제품 개발을 위한 수요연계 및 시제품 제작 지원, ②신소재 응용 및 반도체 설계·검증 등 기반기술 강화, ③미래 양산 수요에 대비하기 위한 제조 공정 확보 등을 지원한다.

강경성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지난 5년간 민·관이 합심해 전력 반도체 기술개발에 노력한 끝에 국내 화합물 반도체 성장기반을 마련할 수 있었다”면서, “종합 반도체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화합물 기반의 차세대 전력 반도체와 같은 전략적 분야를 적극적으로 육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