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학·연·관 협력해 5G 융합생태계 조성 본격 추진
과기정통부, 5G+ 산업생태계 정책협의체 발족
[테크월드뉴스=서유덕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24일 온·오프라인 병행으로 ‘5G+ 산업생태계 정책협의체’(이하 협의체) 발족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협의체는 ‘2021년도 5G+ 추진계획’에 따라 구성됐다. 구성원은 수요·공급업계, 학계, 연구계, 전문기관, 5G+ 전담기관(정보통신기획평가원), 관계부처 등이다. 이들은 5G+ 산업생태계 글로벌 선도를 목표로 당면 현안을 해결해 나갈 예정이다.
이날 발족회의에서는 협의체 구성·운영방안과 추진목표를 논의하고 협의체가 집중적으로 검토할 과제를 선정했다. 구체적으로는 핵심기술 공동연구, 사실표준화 대응, 시험인증 등 국제 경쟁력 확보 방안과 기업 해외진출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 5G 엣지컴퓨팅 기반 실증사업 진행상황과 서비스 확산을 위한 아이디어를 공유·제안했다.
또한 자유토론을 통해 R&D, 제도개선 등 산업계 애로사항 해결 방안과 B2B 단말기, 5G 보안 등 관련 실증사업의 향후 추진계획을 논의했다.
이승원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5G+ 산업생태계 정책협의체를 계기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전문가들이 함께 소통해 세계 최고 수준의 5G 융합생태계를 조기에 형성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정부는 5G+ 관련 민·관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이날 발족된 협의체 외 5개 5G 핵심서비스(스마트공장, 실감콘텐츠, 디지털 헬스케어, 자율주행차, 스마트시티)와 5G망 등 총 7개의 정책협의체를 구성할 계획이다.
이밖에 5G+ 생태계 구성 요소(장비, 디바이스, SW, 서비스, 보안 등)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포괄적 생태계 형성(대·중·소 기업 협력, 국내-글로벌 기업 협력 등)을 위한 중·장기 정책도 강구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