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거리 이동 대기오염물질 감시체계 확립, 분석결과 공개
[테크월드=방제일 기자]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제2차 미세먼지 계절관리제를 앞두고 백령도(인천 웅진군), 수도권(서울 은평구), 제주도(제주 애월읍) 대기환경연구소 3곳에서 국경을 넘어 장거리로 이동하는 대기오염물질 23종의 측정값을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초미세먼지(PM2.5) 등 12종은 2019년 한해 동안 측정한 값을, 벤젠 등 11종은 2019년 12월 1일부터 한달간 시범적으로 측정한 값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대기환경연구소 3곳에서는 초미세먼지(PM2.5)를 제외한 20종에서 국내외 대기환경기준과 권고기준을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백령도 대기환경연구소에서 2019년 한 해 동안 측정한 연평균 미세먼지(PM10) 농도는 40㎍/㎥이며, 초미세먼지(PM2.5) 농도는 20㎍/㎥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동안 수도권 대기환경연구소에서 측정한 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PM2.5) 농도는 각각 46㎍/㎥와 26㎍/㎥이다.
제주도 대기환경연구소에서는 미세먼지(PM10) 농도는 24㎍/㎥, 초미세먼지(PM2.5) 농도는 11㎍/㎥(국내 대기환경기준의 48%, 초미세먼지는 73%)로 나타나, 21종 모두 국내외 대기환경기준 이하의 농도를 보여 지난해 한해 동안 쾌적한 공기질 환경을 보였다.
대기환경연구소 3곳에서 2019년 한해 동안 측정한 납과 그 화합물 성분의 평균 농도는 우리나라 대기환경기준(500ng/㎥) 이하로 나타났다. 비소, 망간, 니켈과 그 화합물의 경우 대기환경기준은 설정돼 있지 않으나, 세계보건기구 권고기준과 캐나다 준거치 이하로 나타났다.
이 기간 동안 백령도 대기환경연구소의 총가스상 수은 평균 농도는 1.7ng/㎥으로, 수도권 지역인 은평구 불광동(1.3 ng/㎥)보다 다소 높았으나 세계보건기구 권고기준(1,000ng/㎥)보다 매우 낮았다.
백령도 대기환경연구소에서 2019년 12월 한달간 측정한 휘발성유기화합물 중 클로로포름(0.09ppb)과 염화비닐(0.14ppb) 농도는 대기환경기준이나 세계보건기구 지침서(가이드라인)에는 없으나, 캐나다 온타리오 준거치(0.04, 0.08ppb)에 비해 높아 향후 지속적으로 관측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