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격자로 근사화 후 겹침 없이 전개하는 알고리즘 활용

[테크월드=김경한 기자] 서울대학교 공동연구팀이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해 유연소자를 파손 없이 임의의 3차원 곡면에 부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새로운 재료나 공정 없이도 현재 사용 중인 각종 소자를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어 향후 웨어러블기기나 신체 부착형 소자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연구는 서울대 재료공학부 최인석 교수·주영창 교수·이명규 교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 김창순 교수, 미국 조지메이슨 대학 리엔지밍 (Lien, Jyh-Ming) 교수의 공동연구팀(이하 서울대 공대 공동 연구진)이 진행했다. 

최근 자유롭게 늘어날 수 있는 전자 소자 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는 가운데, 실질적으로 현재 상용화된 늘어나지 않는 플렉시블 디바이스들은 재료의 제약으로 인해 임의의 복잡한 형태로 변형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서울대 공대 공동 연구진은 머신러닝을 통해 컴퓨터가 재단한 전개도를 바탕으로 철판이나 실리콘 기판과 같이 평면형의 늘어나지 않는 재료를 임의의 3차원 곡면에 파손 없이 안정적으로 부착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진은 임의의 복잡한 3차원 곡면을 작은 격자(Mesh)로 근사화한 후, 이를 겹침 없이 2차원으로 전개하는 알고리즘을 활용했다. 이때 유전 알고리즘이라 불리는 기계학습 기법을 사용해 수백 개의 격자로 근사화된 복잡한 3차원 형상에서 겹침이 전혀 없으면서도, 전개도가 차지하는 유효 면적은 최소화된 전개도를 생성했다. 연구진은 생성된 전개도 대로 자른 플렉시블 기판 상에 각종 전자 소자를 제작한 후, 이를 다시 본래의 3차원 곡면 위에 부착시키는 방법론을 제시했다. 

또 연구진이 사용한 3차원 형상은 수백 개 이상의 충분히 많은 수의 격자로 근사화돼, 제작된 전개도 형태의 소자를 3차원 형상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격자와 격자 사이의 접힘(Folding)이 부드러운 굽힘(Bending)으로 근사화될 수 있다.

그 결과 연구진은 실리콘 기판과 같이 작은 응력에서도 쉽게 깨지는 재료도 응력집중으로 인한 국부적 파손 없이 다양한 형태의 3차원 표면에 안정적으로 부착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한편, 이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자지원 사업, 소프트로봇기술선도연구센터, 서울대학교 창의선도신진연구자 과제, LG Display under LGD-Seoul National University Incubation Program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해당 연구 논문은 과학저널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 4월 10일자에 온라인 게재됐다.

회원가입 후 이용바랍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저작권자 © 테크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