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월드=이건한 기자] 블록체인 전문 기업인 블로코가 올해 주목받았던 블록체인 산업의 주요 이슈를 살펴보고, 동향을 소개한 ‘2019 블록체인 시장 동향 보고서’를 발표했다.

블로코 리포트에 따르면, 올해 블록체인 기술을 가장 많이 도입한 분야는 금융 산업이다. 블록체인은 금융업의 주요 역할 중 하나인 ‘중개와 감시의 기능’ 수행에 적합한 기술이다. 이 때문에 올해는 결제, 보험, 대출, 자산관리 서비스 등에 블록체인이 다양하게 적용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올해는 국내 주요 통신 서비스 기업들이 블록체인 플랫폼과 서비스 구축에 출사표를 던지고 각국 정부와 규제기관들이 블록체인 관련 가이드라인을 제정하기 시작한 해다. 이를 기반으로 2020년에는 블록체인 업계에는 또 한 번의 전환점이 불어올 것으로 전망된다. 블로코는 분야와 규모를 막론하고 다양한 기업이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 구축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며 엔터프라이즈 시장을 중심으로 한 대중화가 한걸음 가까워졌다고 평가했다.

이와 함께 블로코가 발표한 ‘주요 블록체인 키워드’는 다음과 같다. 

 

사용자 친화적인 ‘블록체인 UX/UI’ 기술 진화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 개발을 위해서 여전히 전문가 수준이 아닌 이상 사용하기 쉽지 않은 UX(사용자경험)/UI(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활용하고 있다. 사용자 친화적 블록체인 UX/UI에는 디앱(DApp) 운영, 토큰 시각화와 관리, 토큰 결제, 인터넷 브라우저 통합, 암호화폐 지갑 기능, 개인정보 관리, 로컬 장치의 사용자 제어 알고리즘과 같은 고급 분석, API 툴킷, 테스트넷을 통한 테스트 등과 같은 기능이 포함돼야 한다.

 

기업들의 하이브리드 블록체인의 도입 증가

하이브리드 블록체인을 비즈니스에 구현하면 퍼블릭과 프라이빗의 강점을 모두 흡수할 수 있다. 프라이빗 블록체인에서는 기밀성과 확장성을 취하고 퍼블릭 블록체인을 통해서는 신뢰를 확보하고 토큰경제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하이브리드 블록체인을 기술적으로 빠르게 구현하여 성장 모멘텀을 확보한 기업이 시장에서 앞서 나가게 될 것이다.

 

탈중앙화 금융(DeFi: Decentralized Finance) 시대

중앙화된 금융기관 대신 기술 기업의 사용자 수를 기반으로 블록체인을 활용해 금융 취약 계층들을 위한 금융서비스들이 나타날 것이다. 국내에서도 고연령 자산가들을 위한 암호화폐 커스터디(Custudy: 금융 자산을 대신 보관 및 관리해 주는 서비스), 대출, 주문 구매로 서비스를 넓혀가고 있으며 암호화폐 대출 서비스 등 여러 탈중앙화된 금융 서비스들을 출시 중이다. 

 

▲ 새로운 블록체인 비즈니스 모델, ‘서비스로서의 블록체인(BaaS)’

BaaS(Blockchain as a Service)는 기업이 대규모 비용 투자 없이 분산원장 기술을 사용하는 서비스다. 2015년에 마이크로소프트가 ‘애저 블록체인(Azure Blockchain)’을 발표했고 이외에도 알리바바, 아마존웹서비스, 시스코, 구글, HP, IBM, 오라클, SAP, 텐센트도 BaaS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오픈 블록체인 시장과 달리 전통적인 거대 테크 기업들이 현재 BaaS 시장의 우위를 점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고객사들이 기존 시스템에서 블록체인으로의 전환 비용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신뢰성 높은 엔터프라이즈 솔루션을 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전 세계 암호화폐 관련 규제 지침 강화

국제 자금세탁방지기구(FATF)가 암호화폐의 자금 세탁 방지 등에 대한 국제적 규제 지침을 발표했다. 그러나 FATF의 규제안은 현재 대형 암호화폐 거래소도 적용이 어려울 만큼 까다롭다. FATF가 암호화폐 국제 규제안을 내놓았다는 것이 암호화폐 제도화를 위한 초석으로도 읽힐 수도 있지만 반대로 기존 암호화폐 생태계를 위축시킬 수도 있다는 우려가 있다.

 

▲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에 DID(탈중앙 식별자 서비스) 적용 확산

DID는 위·변조가 불가능한 분산원장을 통해 개인의 신원을 증명하고 본인 스스로 개인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다. 하지만 사용자가 DID를 발급받았다고 해도 어디서나 만능 키처럼 쓸 수 있는 건 아니다. DID의 승인 여부는 서비스 회사들의 DID 수용과 정보권한의 변화에 달려있다. 실제로 은행마다 다른 공인증인증서를 사용하고 있는 것처럼 많은 기업들의 참여와 인식의 변화가 없다면 기존 인증체계와 별다를 것이 없을 수 있다는 점이 우려된다. 이런 우려에도 불구하고 DID는 여러 블록체인의 디앱과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의 핵심이 될 수 있어 국내 대기업들이 뛰어들기 시작하는 중이며, 앞으로의 행보가 기대되는 분야 중 하나다. 

 

▲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 상용화를 위한 다각도의 검증

다양한 산업에서 ‘스마트 컨트랙트(블록체인 기반으로 금융거래, 계약, 공증 등 다양한 형태의 계약을 체결하고 이행하는 것)’ 등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각 조직의 환경과 조건에서 일정 수준 이상의 트랜잭션이 보장되어야 상용화가 가능하다. 블록체인 서비스는 금융권에 적용을 시작으로, 올해는 완성차, 해운, 유통, 제조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도입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블로코 김원범 대표는 “블록체인의 투명성, 불가역성에만 기댄 플랫폼은 더 이상 시장에 새로움을 줄 수 없다. 올해는 크립토를 포함한 블록체인 시장의 관심이 개념과 아이디어 차원에서 한 단계 진전하여, 상용화 위주로 전환되며 고객, 사용자와의 접점인 지갑과 DID에 대한 관심이 뜨거워졌다"며, “블록체인 업계에서는 지난 몇 년간 기업의 블록체인 도입 장벽을 낮추는 작업(B2B 영역)이 진행돼 왔으며, 이제는 최종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블록체인 서비스의 대중화 작업(B2C)이 진행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테크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와 관련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