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월드=김지윤 기자] 레코드판, 테이프, CD 까지... 음악을 즐기게 해주는 기술이 꾸준히 발전하면서 우리는 오늘날 MP3 파일로 언제 어디서나 편하게 음악을 즐긴다.

1877년 에디슨이 인간의 목소리를 기록하고 재생할 수 있는 축음기를 발명하고 1948년 콜롬비아 레코드에서 처음으로 33 1/3 회전 레코드판를 처음 생산하기 시작한 이래, 아날로그는 오랜 시간 동안 인류와 함께 해왔다. 

1984년 CD라는 디지털 소스가 등장하며 사용상의 편리함과 무한 복제라는 장점을 무기로 급속히 퍼져나갔다. 하지만 CD는 음악을 전달하는 메인 포맷으로 활약한 지 채 30년도 안 되어 MP3라는 포맷에 자리를 빼앗기기 시작했다. 오늘날 대부분의 사람들은 파일로 음악을 재생해 듣지만 아직도 레코드판으로 음악을 듣던 그 때의 감성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많다. 

레코드판의 역사

 

최초로는 1931 RCA가 개발한 것으로 레코드 원판의 재질이 먼지에도 스크래치가 생길 정도의 연질로 재생 시 잡음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많아 제조를 중단하였다고 한다. 그 후 1948년에 미국 콜롬비아에서 마이크로그루브 방식을 개량함으로써 비닐계 재질로 된 레코드판을 발명했는데, 시초에 발명된 레코드 원판보다 수록 시간과 플레잉 시간이 연장됐다.

어떻게 노래가 나올까?

 

이런 레코드판을 LP(Long-Playing Record, 장시간 음반)라고도 하는데 LP 판에 V자 모양의 바늘을 통해미세한 홈(기록된 소리의 파형, 소리골)을 파게된다. 축음기의 바늘을 이 LP 판위에 높고 턴테이블이 돌게 하면 바늘이 미세한 홈의 골의 강약에 따라 바늘이 움직이고 이 바늘은 움직임을 통해 진동을 전기신호로 바꿔 다시 스피커로 전달하여 소리를 내게 된다. 나팔 모양의 관을 통해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소리로 키우게 되는 것이다.

음악이 안정적으로 나오기 위해서 레코드판은 일정한 속도로 돌아야 한다. 이것이 가능한 것은 턴테이블의 가장자리가 무겁게 되어 있기 때문에 큰 관성을 가져 회전축을 돌리는 모터의 회전이 다시 불규칙하거라도 무거운 테두리가 진동을 흡수해 일정한 소리가 나올 수 있는 것이다.

금세 사라져버릴 것만 같았던 레코드판은 아직까지도 발매되고 있으며, 꾸준한 판매고를 올리고 있다고 한다. 왜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간편한 MP3 대신 불편함을 감수해야하는 레코드판 음악을 즐기는지는 그 감동을 느껴본 사람만이 알 것이다.

회원가입 후 이용바랍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저작권자 © 테크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