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중장기적인 전략 필요

[테크월드=양대규 기자] 한국은 독일, 미국, 일본과 함께 초창기에 스마트 팩토리 구축을 준비했지만, 아직도 대기업을 제외하고는 스마트 팩토리 구축이 더딘 편이다.

독일과 미국, 일본은 뚜렷한 전략으로 스마트 팩토리 강국으로 한발 앞서나가고 있으며, 후발주자인 중국도 중장기적인 전략으로 스마트 팩토리의 다크호스로 떠오르고 있다.

한국은 정부 주도의 스마트 팩토리 구축 사업이 있으나, 규모가 작고 기초 시설 투자 수준에 불과하다. 전문가들은 스마트 팩토리와 관련해 정부 주도의 중장기적인 강력한 전략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스마트 팩토리, Why?
2010년대로 넘어오면서 국내에서는 ‘제조업의 위기’라는 말이 들려오기 시작했다. 이는 국내 제조업들이 글로벌 경쟁에서 밀리고 있다는 말이다. 한국은 국내총생산(GDP)의 30% 이상이 제조업에 치중된 국가다. OECD 내에서도 1, 2위를 다툰다. 제조 강국으로 불리는 독일이나 일본, 미국보다 제조업 비중이 10%포인트 이상 높다. 제조업이 무너지면, 어느 나라보다 심각한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 또한, 제조업이 무너질 가능성이 가장 큰 나라이기도 하다.

국내의 경우, 제조업의 위기는 가동률을 통해 뚜렷하게 나타난다. 2017년 국내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71.9%로 나타났다.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 67.6%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제조업 가동률은 국내 주요 기업이 생산능력에 비해 실제로 얼마나 생산했는지를 측정한 값이다. 100개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기업이 72개밖에 생산을 못 했다는 것이다. 보통 제조업 가동률 80% 수준을 정상적인 생산 활동 기준으로 본다.

또한, 기업은 고령화로 인한 숙련공 감소, 공급 경쟁 확대 등 제조환경변화에 대비할 수 있는 최적 제조시스템이 필요해졌다. 중국의 성장과 비용의 증가는 국내 제조업들에게 위기를 불러일으켰다.

AI, IoT, 빅데이터 등 첨단기술 발달로 이와 같은 고민 해결이 가능한 ‘스마트 팩토리’ 구축에 기업들은 관심을 보이게 된다. 선진국 등 각국 정부는 글로벌 위기 이후 지속된 저성장 극복방안으로 제조업에서 해법을 찾고자 했으며, 이에 각국 환경에 맞는 제조업 부흥정책을 마련해 직·간접적인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사람이 직접 생산에 관여한 이전까지의 공장과 다르게, 스마트 팩토리는 자동 생산 시스템을 구축한다. 축적된 데이터를 통한 관리로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보다 효율적인 생산을 가능케 한다.

중소기업 69% “스마트 팩토리 관심 없다”

한국 정부는 2014년 6월 제조업 혁신 3.0의 3대 전략 과제 중 하나로 스마트공장 보급 확산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이후 2015년 5월 민관합동 스마트공장 추진단을 설립했다. 이를 통해 2017년까지 5000개, 2025년까지 3만 개의 스마트 팩토리를 구축한다는 게 정부의 목표다.

스마트공장 추진단 사업을 통해 스마트 팩토리를 구축한 업체 수는 2014년 277개에서 2016년 2800개로 늘었고, 2017년 후반에는 약 4900개에 달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구축 수준은 기존의 공장에 ICT를 도입한 기초단계가 대부분이었다. 2016년 기준 기초단계가 80.2%, 중간1단계가 18.2%, 중간 2단계가 1.6%, 고도화의 경우는 전무했다. 스마트 팩토리라기 보다는 일부 공정의 자동화라고밖에 해석할 수 없다.

스마트 팩토리 구축 단계

2016년 11월 중소기업중앙회의 조사에 따르면, 4차 산업혁명에 대해서 11.4%만 ‘내용을 알고 있다’고 답했다. 29%는 ‘관심 없다’, 40%는 ‘전혀 관심 없다’로, 전체 69%가 부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중소기업들이 스마트 팩토리 구축에 부정적인 시각을 보이는 이유로 메켄지(MCKinsey)의 조사에 따르면, ▲수요업체들이 제조공정을 이미 갖췄고, R&D와 IT, 제조, 판매 등이 유기적으로 연결됐으며 ▲새로운 기술 도입에 대한 교육 ▲제조기술 기밀 누출과 보안에 대한 우려 등으로 나타났다.

이에 산업기술리서치센터 민성희 연구원은 “국내 기술 공급기업은 더욱더 주요 선진 기업과 네트워크를 맺고, 기술적으로 앞선 공급 얼라이언스(Alliance)에 참여할 필요가 있다”며, “선진국 내 기업들은 스마트 공장 관련 기술을 개발하고 자국에서 적용, 상품화할 수 있지만, 우리는 내수시장이 협소하고 수출의존도가 높아 내수시장 기반으로 기술 시장성까지 검토하는 데 한계가 있고 바로 수출경쟁력을 갖춘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해야 하는 부담감이있다. 따라서 선진 기업과 협업은 매우 중요한 과제이며, 기업 스스로 참여할 수 없다면 정부 주선이나 대기업-패키지로 참여해야 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한, 전문가들은 국내 스마트 팩토리 구축이 더딘 까닭으로 중장기적인 전략의 부족을 지적한다. 일례로 ‘2018년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사업’에 대한 결제도 진행되지 않았다(2018년 2월 20일 현재). 2018년 1월 진행된 스마트공장 추진단 사업설명회에도 내용면에서 기존과 큰 변화는 없었다.

정부는 2030년까지 3만 개의 스마트 팩토리를 추진한다고 발표했지만, 단순한 숫자뿐이지 구체적인 로드뷰를 제시하지는 못하는 상황이다. 추진단에 집행되는 규모는 단순히 개별 공장의 개선만 가능하지, 산업 구조 자체를 바꿀 수는 없다는 것이다. 

민관합동 스마트공장 추진단
국내 스마트 팩토리 사업은 현재 민관합동 스마트공장 추진단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추진단은 적은 예산과 활동범위에서 최대한의 성과를 내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017년 스마트공장 보급확산과 관련해 책정된 중기부 예산은 782억 원이다. 스마트 팩토리 구축을 위해 한 곳에 정부자금 5000만 원이 투입된다고 가정하면, 만들 수 있는 스마트공장 수는 1560여 개에 불과하다. 이에 추진단은 예산으로 할 수 있는 범위에서 지속적인 스마트 팩토리 보급을 진행하고 있다.

추진단의 스마트 팩토리 보급은 가장 기초적인 단계부터 시작된다. 국내 36만 개의 제조업 중 70% 이상이 아직도 ICT가 적용되지 않은 상황이다. 기본적인 엑셀을 활용하고, 수기로 데이터를 체크해 전달하는 수준인 것이다. 추진단은 이에 기초 수준의 스마트 팩토리 구축부터 진행하는 전략을 준비했고, 이는 적당한 수준의 실효성을 거둔 것으로 파악됐다.

독일의 경우도 인더스트리 4.0을 통해 공장 전체를 고도화된 스마트 공장으로 바꾸려고 했으나 실패를 한 경험이 있다. 이후 독일은 플랫폼 인더스트 4.0를 통해 스마트 팩토리의 단계별 변화를 추진하고 있다. 추진단 또한 독일의 사례를 바탕으로 기초 단계의 데이터 수집부터 스마트 팩토리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추진단이 보유하고 있는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 기업의 풀(Pool)은 213개다. 이중 MES를 지원하는 업체가 116개로 가장 많았고, 이어 ERP를 지원하는 업체가 44곳, PLM을 지원하는 곳이 27개의 수준이다.

배경한 부단장은 “스마트 팩토리에 대해 전혀 들어본 적이 없는 기업이 아직도 많은 반면, 정말 잘 안다고 말하는 기업도 많다”며, “그나마 스마트 팩토리를 알고있는 일부 기업은 기본적인 ICT 구축에 만족하는 경우도 많다. 기업이 바뀌어야 한다는 생각을 하지않으면, 정부에서 아무리 지원을 해줘도 효과가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독일·미국·중국 등은 2035년을 제조업 혁신이 이뤄지는 시기”라며, “그 때는 이미 세상이 바뀐다. 제조업 전반적으로 첨단 기술이 주도를 할 것이며, 모든 거래는 글로벌하게 이뤄진다”고 덧붙이며 기업의 변화를 촉구했다.

민관합동 스마트공장 추진단 배경한 부단장

스마트공장 추진단 배경한 부단장은 “스마트 팩토리 보급이 확산되려면 기업의 의지가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정부에서 아무리 큰 예산을 쏟아부어도, 그것을 실천하는 기업이 변화하려는 의지가 없다면 결국 스마트 팩토리 구축은 의미가 없다는 것이다. 기존의 노하우와 감에 의존하는 경영마인드로는 최신 시설을 도입해도 변화가 불가능하다고 지적한다.

아울러, 배경한 부단장은 국내 스마트 팩토리가 구축되려면, 공급기업을 육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독일의 지멘스, 프랑스의 다쏘시스템, 미국의 GE와 같은 공급기업이 국내에도 필요하다. 스마트 팩토리를 구축하는 글로벌 소프트웨어 개발이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중요한 열쇠라는 것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테크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