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유통이 대부분, 국산 S/W는 ‘전무’

[테크월드=정환용 기자] 한국무역협회(KOTRA)에 따르면, 미국의 3D프린터 시장은 거대 자본의 투자로 기술이 발전하고 동시에 완제품과 소재의 가격 인하로 시장 규모가 계속 성장하고 있다. 기존의 제조 방식은 원재료를 자르거나 깎는 등의 변형 제조가 일반적이었지만, 하나 이상의 재료를 겹쳐 자유로운 형태로 가공할 수 있는 3D프린팅 제조가 시간과 가격 모두 효율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덕분에 2012년부터 현재까지 미국 3D프린터 시장은 약 24.7%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했고, 시장 규모도 30억 달러에 달할 정도로 커졌다.

지금까지의 3D프린팅 기술은 건설, 의학, 우주항공 분야에서 대부분의 수요를 차지했다. KOTRA는 앞으로는 패션, 뷰티 등 일상적인 분야에서도 수요가 높아질 것으로 예측했다. 또한, 재료 가공이 필요한 모든 산업에서 3D프린터 관련 수요가 증가해, 2022년까지 연평균 7.8%의 성장률과 시장 규모 44억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하기도 했다.

 

현재 미국의 3D프린터 시장은 소비자 제품 37.7%, 우주항공·자동차 23.6%, 헬스케어 19.2%, 건설 8.8%, 기타 분야 10.7%로 나뉘어 있다. 특히 헬스케어 분야는 병원에서 중요한 수술 전에 3D프린터를 이용해 인체 장기를 만들어 시뮬레이션을 진행하며 성공률을 높일 수 있어, 점유율을 꾸준히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자료제공=IBIS World)

의류·패션 관련 기업들오 3D프린터를 적극 활용하겠다고 발표하고 있다. 스포츠의류·장비를 만드는 아디다스는 실리콘밸리의 3D프린팅 스타트업 기업 ‘Carbon’과 협력해, 2018년까지 10만 켤레의 신발을 3D프린터로 만들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아디다스는 자사의 새로운 모델 ‘Futurecraft 4D’ 제품을 3D프린팅을 활용해 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모델은 올해 5천 켤레, 내년까지 10만 켤레가 생산될 예정이다.

 

아디다스의 Futurecraft 4D 이미지. 자료제공=Adidas

보스턴의 의류 업체 ‘Ministry of Supply’는 일본의 3D프린터를 이용해 90분 안에 고객 맞춤형 재킷을 만들 수 있다고 발표했다. Ministry of Supply는 현재 소비자가 원하는 재질과 색상을 소프트웨어에 적용시켜 맞춤 제작 재킷을 만들고 있다. LA 타임즈는 이 회사를 언급하며 3D프린터가 미국의 의류업계 제작과정을 변화시키는 트렌드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3D프린팅 의류 제작은 남성 의류 브랜드 ‘Indochino’와 아마존도 시도하고 있다.

3D프린터를 의류 제작에 이용하면, S, M, L 등 평균 기준에 맞춰진 기성복 대신 소비자마다 꼭 맞는 크기의 의류를 저렴한 가격에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된다. 
 

3D 프린팅 기술을 통해 재킷이 생산되는 모습. 자료제공=Digiday

국내 3D프린터 시장은 아직 대부분이 해외 제품 유통과 솔루션, 인쇄 대행 등의 서비스업이 대부분이다. 수 년 전 3D프린터가 본격적으로 알려지며 관련 시장이 활성화되는 듯 보였지만, 지금은 3D프린터가 시기상조인 것처럼 조용하다. 입체 인쇄에 대한 수요는 많지만, 국내에 완제품 3D프린터를 직접 만드는 기업이 거의 없고 해외 업체들이 그 수요를 메워주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3D프린터 생산과 납품을 시작한 국내 기업들이 조금씩 눈에 띄고 있다. ‘센트롤’은 금속 파우더를 녹여 쌓는 SLM 방식의 3D프린터를 만들어 납품하기 시작했고, ‘캐리마’도 광경화성 수지를 사용하는 DLP 방식의 3D프린터를 자체 생산하고 있다. KOTRA는 “국내 3D프린터 관련 기술이 중국이나 일본의 기술 수준과 견주어도 경쟁력이 있다”며, 프린터 자체와 더불어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소재도 수출 가능성이 큰 분야라고 언급했다.

KOTRA는 이와 함께 관련 소프트웨어 분야도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어, 국내 기업들이 관련 기술을 수출하는 부분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고 첨언했다. 그러나 예전부터 국내의 소프트웨어 시장은 무척 열악하고 개발 환경도 척박하다는 것이 중론이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대한민국의 중심은 소프트웨어’라고 외치고 있지만, 정작 소프트웨어 교육이나 관련 정책에 대해선 수십 년간 탁상공론에 머물러 있었다. 기업들 역시 가시적인 성과를 보기 어려운 소프트웨어 분야에 대한 개발에는 투자가 인색했다.

최근 더불어민주당 이상민 의원이 개최한 ‘새 정부 IT 서비스 미래 전략 세미나’를 통해 IT 서비스 관련 오픈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어필했다. 미래창조과학부 역시 소프트웨어 원천기술 확보를 위해 연구개발 투자 비중을 현행의 2배인 6.8%로 확대하고, 글로벌 소프트웨어 전문기업을 2022년까지 100곳으로 늘리겠다고 발표했다. 정부기관이 다양한 방향으로 소프트웨어 개발을 지원하며 중요 소프트웨어의 국산화에 앞장서겠다고 공언한 만큼, 고질적인 문제였던 ‘소프트웨어 제 값 받기’가 국내에서도 성공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자료제공=로스엔젤레스 최종우 무역관(KOTRA)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Tag

키워드

#3D프린터
저작권자 © 테크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