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TRI 에너지IT기술연구실 연구진들이 에너지 거래 시스템을 통해 분산자원(비상발전기, 풍력, 연료전지, ESS 등)의 등찰/등록 결과를 살펴보고 있는 모습.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에너지 잉여자원을 시장에 내다 팔 수 있는 ‘에너지 거래 기술’을 개발에 성공했다고 11월30일 밝혔다. ETRI가 개발한 기술은 전기 에너지를 소비자간 연결시켜 주는 일종의 에너지 중개시장 기반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ETRI는 건물 내 전기의 소비 장치들의 예측 수요와 현황을 바탕으로 건물 내·외부에 태양광, 풍력, 에너지 저장장치 등 분산자원을 설치, 이들 간 수요와 공급 최적화를 이루기 위한 에너지 통합관리 기술과 더불어 잉여 에너지에 대한 거래 기술을 개발했다. 

이를 통해 최대 전력 피크시의 에너지 절감은 물론 잉여에너지에 대한 거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ETRI 주관의 이 사업에는 KT, 에이치투, 씨씨앤비, KAIST 등이 참여하고 있다.

이번 개발한 에너지 거래 핵심기술은 ▲에너지 정보 교환 프로토콜 기술 ▲개인과 개인이 직접 연결해 정보를 공유하는 P2P(Peer to Peer)기반 에너지 거래기술 ▲분산자원 에너지 통합관리 및 거래기술 등으로 정보 표준화관련 국제표준기구의 표준 정보모델 기반으로 구현됐다.

이번 기술은 발전량이나 가격, 스케쥴 등 거래 및 판매 대상이 되는 각종 분산자원에 대한 정보를 중개시장 서버에 등록, 분산자원 온라인 전력 거래를 중재하며 계약된 분산자원의 발전 또는 수요 감축 이행 여부를 실시간 감시 및 감독함으로써 에너지 판매자와 구매자간 직접적인 에너지 거래를 가능케 하는 기술이다. 

이는 ETRI가 국제표준에 기반한 상용 수준 프로토콜로서는 처음으로 개발한 사례라는 측면에서 의미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또 개발된 기술은 전북 진안군 소재 홍삼스파, 홍삼빌 건물과 대전 유성구 소재 ETRI 12연구동에 적용, 완성도를 높였다. 

특히 기술 개발 내용과 관련해 분산자원 기반 마이크로 에너지 그리드의 네트워킹 프레임워크 내용 등은 올 9월 국제전기통신연합(ITU ITU-T Y.2071 (Framework of micro energy grid)의 국제표준에 제정됐다.

이번 사업의 총괄책임자인 ETRI 이일우 에너지IT기술연구실장은 “이번 기술은 전력 피크 대응을 위한 소비자 영역에서의 에너지 절감은 물론, 에너지 거래·공유 기반 기술의 확보를 통해 다가올 에너지 공유 경제 체계로의 전환에 대한 선도기술 확보 및 기술적 선점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고 설명했다. 

회원가입 후 이용바랍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저작권자 © 테크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