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지방정부로부터 재정 지원받아 신축공장 확장하며 생산량 증가

전세계 디스플레이 시장 점유율 각각 1, 2위를 차지하고 있는 한국기업 삼성전자, LG전자를 중국기업이 위협하고 있다. 중국이 디스플레이 제조시설 확장과 함께 생산량을 대폭 늘리면서 2018년이면 전세계에서 가장 큰 FPD 생산 지역이 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최근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TFT LCD) 디스플레이는 빠르게 상품화 되면서 가격 하락과 마진율 부진을 앓고 있다. 반면 중국은 2010년 전체 TFT 생산율이 4%에 불과했지만 평면 패널 디스플레이(FPD) 용량을 추가로 제조하고 지방 정부로부터 재정 지원을 받으면서 2010년부터 2018년까지 연간 40%성장 할 것으로 전망된다.

시장조사기관 IHS는 중국은 2018년 TFT 생산율이 세계 시장의 35%를 차지하면서 세계에서 가장 높은 생산지역이 될 것으로 예측했다. 특히 중국의 BOE 테크놀로지 그룹은 2010년과 2018 사이에 연간 44 %의 용량 성장률을 보이면서 2018년 이노룩스, AUO, 샤프, CPT, 파나소닉 등을 제치고 디스플레이 생산량 3위로 등극할 것으로 본다.

그러나 일본, 한국, 대만은 평판 디스플레이(FPD) 생산을 위한 TFT 용량이 2010년과 2018년 사이 연간 2% 미만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이들 국가는 생산량을 늘리는 것보다 고급 기술 중심으로 집중 투자에 더 중점을 두고 있다.

2010년 기준으로 삼성의 FPD 생산량이 24%, LG가 22%이었지만 2018년 삼성 19%, LG 18%까지 떨어지면서 한국기업의 위기가 올 것으로 전망된다.

▲ FPD 시장 점유율(2010년, 2018년), 자료: IHS

IHS 측은 “최근 TV, PC, 태블렛 등의 수요 감소로 인해 디스플레이 산업이 대부분 지역에서 향후 몇 년간 공급과잉 우려가 돌고 있지만 중국은 지방정부 지원에 힘입어 패널업체들은 신규 공장 신축을 지속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중국 지방 정부는 토지와 시설을 제공하고 세금 혜택, 기술 보조금 및 합작 투자와 같은 직접 투자를 통해 생산 능력 확대의 주요 원동력이 되고있다.

업계에서는 한국 기업이 중국과의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기술력을 무기로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삼성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투명 미러 등을 앞세워 신제품 출시를 활발히 하고 있고 LG는 OLED TV를 중심으로 OLED 디스플레이 개발에 집중 투자하고 있다.

소니, 파나소닉, 샤프 등의 일본의 강자 기업이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잃은 절차를 한국기업이 따라가지 않기 위해서 중국의 견제를 견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테크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