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주도의 효율적인 정책 지원 ‘절실’


3D프린팅의 관심이 높아져만 가는 가운데 전 세계적으로 개인용 3D프린터의 판매량이 급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가트너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3D프린터 출하량이 지난해 10만8150대에서 올해 21만7350대로 증가하고 해마다 2배 이상 늘어나 2018년에는 230만대 이상 판매될 것으로 예측됐다.


특히 올해는 산업용 3D프린터보다 개인용 3D프린터에 대해 더 많은 시선이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GII(2013)의 ‘개인용 3D프린터: 시장 전망 및 시장 점유율 분석 보고서 2013-2022(personal 3D Printers: Market Forecast and Market Share Analysis: 2013-2022)’에 따르면 개인용 3D프린터가 2010년 이후 폭발적인 성장세를 기록하며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가트너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개인용 3D프린터는 압도적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됐다.


정부, 노력하고 결실도 맺었다! 그러나…
하지만 국내 개인용 3D프린터시장은 잠잠하기만 하다. 상상 속 물건을 직접 만들 수 있다는 강점이 소비자들을 매혹시킬 만도 한데 함께 이슈가 되었던 핀테크와 달리 아는 사람이 별로 없다. 특히 이슈에 민감한 10대와 20대들 중 3D프린터에 대해 아는 이는 거의 전무한 상황이다.

정부에서는 지난해 6월 3D프린터를 가장 잘 활용하는 국가로 만들 것이라며 창의메이커 1000만 양성에 대한 포부를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와 미래창조과학부에서 밝힌 3D프린팅 산업 육성 프로젝트에 따르면 오는 2020년까지 3D프린팅 기술 체험과 교육을 통해 1000만 명의 인력을 양성한다는 계획이다.

▲ 출처: 한국기술정보연구원, 3D프린팅 표준기술 및 시장동향 리포트.

이를 위해 교육 전문가 양성, 일반인 및 예비 창업자 교육, 초중고교생 교육 등 여러 지원이 이뤄졌다. 지난해 11월 3D프린팅 자격증 시험이 개최됐고 12월 BH조형교육원에서 3D프린팅 전문 강사 50명을 배출했으며 3D프린팅교육시범학교로 선정된 몇몇의 학교에서는 3D프린터를 이용한 수업을 진행했다. 또 그 가운데 배우는 학생에 비해 전문 강사가 모자랄 것을 대비한 것인지 군인을 대상으로 한 3D프린팅 전문가 양성반도 개설됐다.

기술 향상을 위한 지원도 있었다. 지난해 정부는 3D 프린팅 콘텐츠 제작을 위한 ‘3D 스캐닝 및 콘텐츠 저작도구’와 ‘3D프린팅 콘텐츠 저작 툴’을 개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후 또 다른 성과를 위해 2014년도 창조비타민 프로젝트의 2차 과제 19개 중 하나로 3D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인체 특성 반영 의료데이터 변환 및 합성, 모델 생성 등을 지원하는 응용 소프트웨어 플랫폼 개발을 선정하며 의료에 쓰일 기술을 지원하고 있다.

전시회 및 박람회도 몇 차례 개최됐다. 특히 지난해 11월 처음으로 열린 3D프린팅코리아(3DPRINTING KOREA)는 산업통상자원부의 지원 아래 3D프린터 기술의 현주소와 미래를 조망할 수 있도록 3D프린터 관련 해외 · 국내 업체들을 한 자리에서 확인할 수 있어, 3D프린팅에 관심을 가지고 있던 여러 사람들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장이 됐다.

그러나 결실을 맺었다고 해서 결과가 다 좋다고 볼 수 없다. 너무 늦게 시작한 것도 있지만 그만큼 빨리 따라가야 하는데 아직도 제자리걸음 중이다. 일례로 국내보다 한 발 앞서 3D프린터 산업 발전 정책을 펼친 중국은 2012년 당시 10억 위안(약 1억6000만 달러)에 불과했지만 현재 시장 규모 100억 위안(약 16억 달러)을 형성하게 될 것이라는 전망을 보일 정도로 가파른 성장을 보이고 있다. 정부 주도 하에 이뤄진 진흥정책이 잘 맞아 떨어진 결과다.

이러한 중국의 밝은 전망은 모두 정책에서 비롯된다. 특히 자라나는 학생들에게 3D프린터에 대해 교육시킴으로써 기존에 가지고 있던 낯선 느낌을 완화시켜주는 중국의 교육 프로그램은 앞으로의 성장이 계속될 것이라는 예측에 힘을 싣는다.

▲ 표1. 3D프린팅 기술적 한계 및 미래발전 예측.

반면 국내는 이와 같은 교육 프로그램이 3D프린터시장의 선두주자로 꼽히는 미국, 일본 등 각 국가에서도 진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계획 진행 중에 머물러 몇몇 학교를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시작하고 있을 뿐 확정지은 것이 없다.

3D프린터를 가장 잘 다루는 국가를 목표로 설정했지만 국내에는 3D프린터를 경험해 본 사람 조차 매우 드물다. 3D프린터분야를 배우고 있더라도 산업용 3D프린터와 개인용 3D프린터, 혹은 3D프린터의 기술을 모두 경험해 본 사람도 거의 없는 실정. 정책이 이뤄지고 있다고는 하나 이러한 결과로는 목표를 이루기까지의 길이 너무 멀다.


선택의 기로에 선 정부, 다방면 · 효율적 지원 필요
올해 정부는 3D프린팅 예산을 지난해 30억 원에서 90억 원 증액한 120억 원으로 측정했다. 창조경제 육성에는 233억 원이 배정됐다. 3D프린팅 발전에 보다 힘을 실어주겠다는 것이 정부의 입장이다.

문제는 지원만큼의 성과를 얻어낼 수 있는가이다. 정부는 3D프린팅을 보다 발전시키기 위해 지원금을 4배로 불렸다. 그만큼 결과를 얻어낼 수 있어야 하는데 현재 정부가 주도하는 방책은 3D프린팅 업계 종사자들로부터 적은 지원금, 교육의 대상, 제도개선 등 여러 문제점을 지적받고 있다. 특히 정부의 목표가 부정확하다고 언성을 높인다. 실현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것이 이유다.

개인형 3D프린터의 폭발적인 성장과 활용이 전망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도 함께 성장할 수 있을까? 정부는 지금 두 갈림길에 서 있다. 정부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정부의 입장을 고수하는 것도 하나의 길이지만 직접 현장을 뛰는 업계 종사자들의 말을 수용하며 성장을 노리는 것도 하나의 길이다. 어떤 선택으로 어떤 결과를 가져올 것인가. 효율적인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다.


회원가입 후 이용바랍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저작권자 © 테크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