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110억원 투입 ‘AI반도체혁신연구소’ 공식 출범

[테크월드뉴스=박규찬 기자] 모빌린트는 성균관대학교와 함께 ‘AI반도체혁신연구소’에 참여해 차세대 온디바이스 AI 반도체 핵심 기술 개발 및 전문 인재 양성을 위한 산학협력을 본격화했다고 18일 밝혔다. 

개소식에서 모빌린트 신동주 대표(오른쪽에서 네번째)와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모빌린트]
개소식에서 모빌린트 신동주 대표(오른쪽에서 네번째)와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모빌린트]

모빌린트는 이날 열린 연구소 개소식에서 산학 공동 연구 체계 구축을 공식화하며 본격적인 협력에 착수했다.

성균관대학교 AI반도체혁신연구소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산학연계 AI반도체 선도기술 인재양성 사업’에 선정되며 설립된 연구 거점으로 향후 5년 6개월간 총 110억 원 규모의 정부 출연금이 투입된다. 연구소는 AI 반도체 설계부터 소프트웨어, 시스템, 응용까지 전 주기를 포괄하는 핵심 기술 개발과 실전형 전문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연구소에는 18명의 교수진과 연간 약 60명의 석·박사 연구 인력이 참여하며 모빌린트를 비롯한 국내 AI 반도체 기업들과 실무 중심의 공동 연구개발 및 전문 인재 양성을 수행한다. 연구소는 산업 현장의 요구를 반영한 기술 개발과 산학 협력 기반의 연구 생태계를 구축해 AI 반도체 분야의 경쟁력 강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모빌린트는 연구소 내 NPU 코어 분야의 주요 협력 기업으로 참여해 ▲NPU 고도화를 위한 HW·SW 기술 ▲온디바이스 AI 경량화·가속화 기술 ▲NPU 시스템 통합 기반 성능 실증 및 최적화 ▲인터페이스·인프라 IP 등 확장성 기술 개발을 성균관대 연구진과 공동으로 추진한다. 

모빌린트가 보유한 고성능·저전력 NPU 설계 역량과 온디바이스 AI 가속 기술이 국내 최고 수준의 연구진과 결합되면서 국가 전략기술 개발 체계에서의 기술 경쟁력도 한층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모빌린트는 이번 협력을 통해 차세대 온디바이스 AI 반도체 핵심 기술 확보에 속도를 내고 성균관대의 설계·소프트웨어·시스템·피지컬 AI 연구 인프라와 결합해 핵심 기술의 실증(PoC)과 상용화를 가속화할 방침이다. 특히 엣지 NPU 분야에서 축적한 모빌린트의 기술력이 산학협력 체계를 통해 공식적으로 인정받으며 국내 온디바이스 AI 반도체 개발 생태계에서의 역할도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회원가입 후 이용바랍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저작권자 © 테크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