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자율주행·비전 기술 융합…공공·산업 현장 실증으로 사업화 추진

[테크월드뉴스=이광재 기자] 클로봇이 오는 11월5일부터 8일까지 킨텍스에서 열리는 ‘2025 로보월드’에서 휴머노이드 로봇의 ‘사회적 지능(Social Intelligence)’을 선보인다. 이번 전시는 단순한 기술 시연을 넘어 AI·자율주행·비전 인식이 통합된 지능형 서비스 구조를 통해 휴머노이드의 실질적 서비스 가능성을 제시한다.

클로봇은 자사의 AI 기술과 자율주행 솔루션 ‘카멜레온(Chameleon)’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이 추진 중인 ‘인간지향적 차세대 도전형 AI기술개발’ 연구에서 개발된 서비스 모듈을 결합한 프로토타입을 구현했다.

클로봇이 오는 11월5일부터 8일까지 킨텍스에서 열리는 ‘2025 로보월드’에서 휴머노이드 로봇의 ‘사회적 지능(Social Intelligence)’을 선보인다.  [제공=클로봇]
클로봇이 오는 11월5일부터 8일까지 킨텍스에서 열리는 ‘2025 로보월드’에서 휴머노이드 로봇의 ‘사회적 지능(Social Intelligence)’을 선보인다. [제공=클로봇]

이를 통해 로봇의 판단·대화·감정 인식 기능을 통합적으로 운영하는 구조를 구현, 향후 한동대학교에서 개발 중인 ‘인간 수준의 통합 지능(HLRI, Human-Level Robot Intelligence)’을 적용할 수 있는 기술적 발판을 마련했다.

이번 로보월드에서는 휴머노이드 유니트리(Unitree) G1을 활용해 강남구청 부스의 안내자로 선보인다. 로봇은 관람객을 인식해 맞이하고 부스 위치 및 정보를 설명하며 사진 촬영을 유도하는 등 사람과 자연스럽게 상호작용한다.

또 딥러닝 기반 얼굴 인식 및 감정 분류 모델을 통해 행복·놀람·화남·슬픔 등의 감정을 실시간으로 구분하고 그에 따라 LED 표현 및 모션을 결합한 맞춤형 반응을 수행한다. 여기에 챗GPT API 기반 대화형 LLM(Language Model)이 결합돼 자유롭고 자연스러운 음성 대화가 가능하다.

이번 시연은 멀리서 지켜보는 로봇이 아니라, 관람객과 직접 상호작용하는 체험 및 경험 중심의 서비스로 운영된다. 단순한 정보 제공을 넘어 사람의 의도와 감정을 이해하고 먼저 대화를 시도하는 ‘사회적 존재(Social Being)’로서의 휴머노이드를 구현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클로봇 관계자는 “AI·자율주행·서비스 모듈을 융합한 지능형 서비스 운영 구조의 첫 시도”라며 “이를 통해 향후 산업·공공 서비스 환경에서 활용 가능한 지능형 휴머노이드 플랫폼의 사업화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회원가입 후 이용바랍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저작권자 © 테크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