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월드뉴스=조명의 기자]

2021년 한국판 뉴딜의 핵심사업인 디지털 트윈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디지털 트윈 기술개발과 고정밀 공간정보 생산을 중점으로 하는 이 사업에는 총 4368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디지털 트윈과 활용분야 예시
디지털 트윈과 활용분야 예시

국토교통부(이하 국토부)는 제6차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2018년~2022년)에 따른 2021년 국가공간정보정책 시행계획을 국가공간정보위원회 심의를 거쳐 4월 27일 확정했다고 밝혔다. 

국가공간정보정책 시행계획은 기본계획의 실행력 확보와 정책 일관성 유지를 위해 국가공간정보 기본법에 따라 중앙부처, 지자체 등의 시행계획을 통합해 매년 수립하는 법정계획이다. 2021년에는 중앙부처·지자체에서 공간정보 생산·공간정보 플랫폼 활성화 등 총 800개 사업에 4368억 원의 투자 계획 등 기관별 공간정보정책 시행계획을 담고 있다.

디지털 트윈은 추격형 경제에서 선도형 경제로 도약하는 범정부적 한국판 뉴딜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하는 국토부의 핵심 사업 중 하나로, 특히 데이터경제, 스마트시티, 자율주행차 등의 구현을 위한 4차산업의 주요 인프라인 공간정보의 구축과 활용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번 2021년 시행계획은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20.7)’ 중점과제의 하나인 디지털 트윈 관련 사업의 내용을 적극 추진하고, ‘제6차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18~’22)’에서의 4대 전략에 따른 중앙부처·지자체의 추진계획을 분야별로 제시했다.  

디지털 트윈 기술개발과 고정밀 공간정보 생산·활용에 836억 원을 투입한다. 

자율주행, 스마트건설 등 신산업 기반으로서의 역할과 안전한 국토·시설관리를 위한 ‘디지털 트윈’ 관련 기술개발 등에 투자를 확대하고, 디지털 트윈 등의 기반정보인 정밀도로지도, 지하공간통합지도, 3D 지형지도 등 고정밀 공간정보 생산 등에 중점 투자한다.

공간정보에 신기술을 효율적으로 융·복합 활용하고 안전사고 예방 등에 필요한 고품질 공간정보 구축에는 2637억 원을 투입한다. 

생산된 공간정보를 대민서비스·행정업무에 활용하기 위한 플랫폼 구축 등에는 1337억 원을, 첨단기술을 활용한 미래 신산업 지원을 위한 공간정보 구축·국가 지원사업에는 394억 원을 각각 투입한다. 

남영우 국토부 국토정보정책관은 “2021년 국가공간정보정책 시행계획 수립을 계기로 공간정보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부 정책이 체계적으로 추진되고, 디지털 트윈 등 미래 신산업 육성 기반을 마련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밝혔다.
 

회원가입 후 이용바랍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저작권자 © 테크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와 관련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