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월드뉴스=조명의 기자]

2020년 코로나19로 인해 국가도메인(.kr) 질의 데이터가 전년 대비 16.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터넷진흥원(이하 KISA)은 국가DNS에 유입되는 국가도메인(.kr) 질의 데이터 정보를 수집·분석한 ‘국가도메인 질의 데이터 동향 및 전망’ 보고서를 3월 17일 발표했다. 

국가도메인 질의 데이터는 PC, 모바일 기기 등이 ‘.kr’로 끝나는 국가 도메인에 접속하기 위해 DNS(Domain Name System)에 ‘도메인에 대한 IP주소를 물어보는’ 질의 과정이 필요한데 이때 생성되는 빅데이터를 말한다.  

KISA는 2020년 국가DNS에서 처리한 국가도메인 질의데이터 약 9237억 건을 분석한 결과, 2019년보다 16.7% 증가(일평균 21억 6000건→25억 2000건)했다고 밝혔다. 질의량 증가의 두드러진 요인으로는 비대면 활동의 일상화, 빅테크 기업의 최신 OS 업데이트 배포, 프로그램에 의한 자동화된 도메인 데이터 수집을 꼽았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국가도메인의 IP주소 변환을 요청하는 건수인 국가도메인 질의량은 코로나19로 인한 원격수업·재택근무 등 비대면 활동 증가와 맞물려 가파른 증가세를 보였다. 특히 온라인 개학을 시작한 4월부터 증가해 2020년 10월에는 사상 최고치인 일 32억 5000억 건을 기록했으며, 연 평균 질의량도 최근 10년 중 가장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구글 등 빅테크 기업에서 발생시키는 질의는 전체 해외발 질의의 약 4분의 1을 차지했으며, 2020년 9월 애플의 최신 OS 배포 이후에는 새로운 유형의 국가도메인 질의가 증가하는 등 일부 빅테크 기업이 국가도메인 질의 전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웹 크롤러 등 사람이 아닌 프로그램이 시도하는 정보 수집 목적의 자동화된 질의가 꾸준히 유입되고 있으며, 데이터 경제시대 도래에 따른 데이터 수집·분석 수요 증가로 인해 앞으로 국가 도메인 질의량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국가도메인 질의량은 빅테크 기업의 신기술 개발·도입, 디지털 대전환·비대면 서비스 확산 추세와 맞물려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2024년에는 일평균 30억 건, 연간 1조 1000억 건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KISA 이원태 원장은 “국가도메인 질의데이터는 인터넷 사용 변화를 가장 먼저 예측 할 수 있는 핵심 데이터셋인 만큼, 정확하고 신속한 데이터 분석을 토대로 민관이 함께 환경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회원가입 후 이용바랍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저작권자 © 테크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와 관련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