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월드=조명의 기자]

코로나19로 침체된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해 1조 522억 원을 지원해 지역사랑상품권 발행을 늘리고, 4만 4000여 개의 대상별 맞춤형 일자리 창출을 추진한다. 아울러 청년과 지역을 연계해 정착을 돕는 청년마을사업을 확대하고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마을기업을 발굴· 성장시켜 지역 경제의 내실을 다진다. 

행정안전부(이하 행안부)는 지역활력 제고를 위해 1조 3692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소비촉진→일자리확대→지역경제 활성화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먼저, 지역 내 소비를 활성화하고 소상공인 지원을 위해 지역사랑상품권 발행지원 사업에 국비 1조 522억 원을 지원해 2019년 6690억이었던 지원 예산을 약 57%(3832억 원) 늘린다.

2021년에는 231개 지자체에서 지역사랑상품권을 발행하며, 각 자치단체는 연간 판매계획을 세워 1월부터 10% 할인 판매를 시작할 예정이다.

지역사랑상품권은 지자체 내 은행이나 별도의 앱 등을 통해 월 100만 원 한도로 구매할 수 있으며 지역 내 음식점, 병·의원, 학원 등 소상공인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다.

청년, 저소득층, 취약계층 등 대상별 맞춤형 일자리 4만 4000여개를 만들어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한다.

실업과 취업난 등으로 일자리를 찾기 어려운 청년과 지역기업을 연계하는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사업에 2350억 원을 투입해 2만 6000명 규모로 추진할 예정이다.

참여자들에게는 인건비와 전문교육, 맞춤형 컨설팅 등이 제공되며, 각 지자체에서 1월부터 모집을 시작한다.

또한 지역의 취약계층에게 일자리를 제공해 공동체 회복을 도모하는 지역공동체일자리에 국비 385억 원을 지원해 9500명을 모집한다.

2020년 상반기에는 공공청사, 대중교통시설을 포함한 주민 다중이용시설을 중심으로 발열체크‧소독 등 생활방역을 지원하는 지역방역일자리에 254억 원을 투입해 8600명을 모집한다.

지역공동체 일자리와 지역방역일자리 참가자들은 최저임금(시간당 8720원)과 4대 보험에 가입하게 되며, 2020년 12월 중순 이후부터 각 자치단체 누리집과 주민센터 등을 통해 2021년도 사업 참여자 모집을 시작할 계획이다.

수도권으로 청년들이 이동하면서 소멸지역으로 지정된 지방과 청년을 잇는 청년마을사업에도 77억 원이 투입된다.

청년마을은 지난 2018년부터 매년 1곳씩 지정돼 3곳이 시범 운영 중이며, 시행착오 등을 보완해 2021년에는 지방소멸지역을 대상으로 12곳을 추가 선정해 확대 운영된다.

행안부는 공모를 통해 지역 정착을 희망하는 청년단체나 청년기업 12곳을 선정(2021년 1~3월 예정) 하고 1곳당 6억 원의 사업비를 지원한다. 

청년마을은 유휴공간을 활용한 거점센터와 주민협의체를 운영하며 ▲디지털 기술을 적용한 원격 라이프스타일형, ▲대안·생태교육을 기반으로 하는 전환교육형, ▲문화·예술 청년들이 주도하는 문화창조형, ▲식음료(F&B)·특화작물 등 지역산업형, ▲스마트시티 등 혁신기술형, ▲친환경 에너지자립형 등의 6가지 사업유형 중 원하는 사업모델을 선택해 추진하게 된다.

또한 청년마을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 지난 2018년부터 시범 조성된 청년마을 3곳(목포, 서천, 문경)과 2021년에 선정된 12곳이 모여 성과를 공유하는 ‘청년 지역살이 박람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행안부는 청년마을 조성과 더불어 지역의 특성을 살리는 마을기업을 발굴·성장시켜 지속적으로 지역경제의 내실을 다진다.

지난 10년간 마을기업은 지역의 특수성을 살린 사업으로 2.8배(550→1556개소), 매출액은 9.8배(196억 원→1928억 원)씩 성장하며 지역경제를 살릴 새로운 대안으로 성장해 왔다.

행안부는 매년 신규마을기업 100개소 이상 지정을 목표로 2021년 마을기업 육성을 위해 104억 원을 지원한다.

시·도별 최소 1개소 이상 지정을 추진하고 지역 특성을 살린 지역특화형 마을기업을 집중 발굴·육성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청년들이 출자 또는 참여(구성원의 50% 이상)하는 청년마을기업에 대해 지정요건·자부담 등을 완화해준다.

한편, 기존 운영되고 있는 마을기업의 관리를 강화해 우수마을기업이 지속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다.

우수 마을기업을 선정, 우수사례를 분석·공유하고 마을기업들의 원활한 안착을 지원하고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나 회생 가능한 마을기업에 대해서는 심층·사후컨설팅 등도 시행된다.

마을기업의 자립기반 조성과 수익창출을 지원하기 위해 온·오프라인 판로를 강화하고 확대한다.

권역별 상생장터 운영, 유통지원센터 개설‧지원과 대형마트 내 임대매장(상생샵) 조성으로 판로를 확대하고, 오픈마켓·V커머스(비디오커머스) 등 온라인몰 입점교육·안내를 중간지원기관과 연계, 제품품평회 등을 통해 입점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재영 행안부 차관은 “코로나19로 인해 모두가 어려운 시기를 겪고 있는 가운데, 지역경제가 회복돼야 우리 경제의 구석구석이 회복되는 것이다”며 “행안부에서는 주민이 지역경제 회복을 체감할 수 있도록 맞춤형 지원 사업을 차질없이 추진하겠다”라고 밝혔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테크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와 관련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