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월드=방제일 기자]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 문봉진 교수(물리‧광과학과, SRC 극미세 초고속 X-선과학 연구센터, C-AXS)는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물질과 화학반응 연구단의 박정영 부연구단장(KAIST 화학과 교수) 연구팀과 충남대학교 김현유 교수(신소재공학과) 연구팀과 함께 이산화탄소 분자가 로듐(Rh) 촉매 표면에서 분해되는 순간을 직접 관찰하는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제거해 유용 물질로 전환할 수 있는 화학반응의 직접 증거를 제시했다.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가 해마다 증가함에 따라 지구온난화를 가속시키는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를 유용한 물질로 전환할 수 있는 기술이 최근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메탄 혹은 메탄올과 같은 청정 연료로 전환한다면, 환경과 석유 에너지 의존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이산화탄소(CO2)는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하기 때문에 전환을 위해 높은 에너지가 소모된다는 점이다. 이산화탄소를 일산화탄소(CO)와 산소(O)로 분해시키는 초기 과정에는 수십 기압에 이르는 고압 반응이 요구된다. 

이 때문에 최적의 반응경로를 설계하고, 전환 효율을 향상시키려면 이산화탄소의 분해 메커니즘을 면밀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지금까지 분광학적 분석 등 제한적인 증거만 제시됐을 뿐, 이산화탄소 분해 과정의 화학적 메커니즘을 원자 수준에서 정확히 제시한 연구는 없었다.

연구진은 실제 반응 환경에서 이산화탄소 분해과정을 실시간 관찰하기 위해 연구를 시작했다. 크기가 수 옹스트롬(Å·100억분의 1미터)에 불과한 이산화탄소 분자는 화학 반응기내부 압력이 충분히 증가할 경우, 촉매 표면에서 스스로 구조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는 이론적 예측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

문봉진 교수는 “지구온난화의 원인으로 지적받는 이산화탄소의 효과적 제거와 활용을 위해서는 이산화탄소의 분해 메커니즘을 낱낱이 파헤쳐야 한다”며 “이번 연구는 실험과 계산과학 분야 공동연구를 통해 표면 이산화탄소의 변화를 원자 수준에서 관찰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표준 연구 방법론을 제시했다는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박정영 IBS 부연구단장은 “이산화탄소가 촉매 표면에서 스스로 분해된다는 이론은 오래 전 제시됐지만, 그간 직접적인 실험 증거가 제시된 적이 없어 40여 년간 난제로 여겨졌다”며 “향후 이산화탄소의 전환률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연결고리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회원가입 후 이용바랍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저작권자 © 테크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와 관련된 기사